정신질환 대부분 약물치료로 효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올해는 세계보건기구가 지정한 정신보건의 해다. 우리나라는 매년 4월4일을 정신건강의 날로 정하고 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4월3, 4일 세종문화회관에서 무료강좌와 가두캠페인 등 기념행사를 갖는다.

정신질환 치료의 가장 큰 걸림돌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제때, 제대로 된 치료를 못 받기 때문'' 이라고 입을 모은다.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유범희 교수는 "대부분의 정신질환은 치료가 잘되며 결코 불치병이나 난치병이 아니다" 고 말한다.

내과 질환도 감기에서부터 말기 암까지 다양하듯 정신질환 역시 그 종류가 여러가지다.

불안증 같은 가벼운 질환이 있는가 하면 정신병원에 수용돼 치료를 받아야 하는 말기 정신분열증도 있다. 하지만 일반인들은 정신질환 하면 대부분 치료가 힘든 난치성 정신질환인 말기 정신분열증을 생각하는 게 문제다.

게다가 정신과 방문 자체를 부끄럽게 생각해 병이 나도 감추거나 내과 등을 전전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정신과 약은 먹으면 바보가 된다거나 그 자체가 중독성이 있어 평생 못 끊는다는 등 약에 대한 오해도 유난히 심하다.

서울대 의대 정신과 권준수 교수는 "실제 이전에 주로 사용했던 정신과 약물은 눈에 초점이 없어지고 침을 흘리는 등 신경계통의 부작용이 나타나거나 중독성을 갖게 하는 약이 많았다" 고 설명한다.

따라서 오래 전에 정신과 환자가 치료받는 것을 본 사람은 정신과 약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가진다. 그러나 최근엔 이런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약을 사용한다.

당뇨병이나 고혈압이 평생 약을 먹어야 하듯 심한 정신분열증도 평생 약으로 증상을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다고 정신과 약 자체가 내성(耐性) 이나 중독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권교수는 "대부분의 정신질환은 6개월~2년의 약물치료로 완치되며,치료시기를 늦출수록 뇌손상으로 인해 난치성 만성 정신질환으로 진행한다" 고 조기진단과 치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황세희 전문위원.의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