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보금자리에 이제 둥지를 틀어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2면

정부의 5·10 부동산 대책 발표로 수도권 지역의 전매제한이 완화되면서 보금자리주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종전에는 수도권 그린벨트 해제 보금자리주택지구에 적용되는 전매제한 기간이 인근 시세의 70% 미만일 경우 10년, 70% 이상일 경우 7년이었다. 이번 대책 발표로 70% 미만 8년, 70~85% 미만 6년, 85% 이상 4년으로 각각 단축됐다. 또 거주의무기간도 당초 5년에서 짧게는 1년까지 줄어든다.

중앙일보 조인스랜드 조사에 따르면 올해 수도권에서 보금자리주택 4000여 가구가 나온다. 서울 강남보금자리지구와 경기도 하남미사지구, 인천 구월지구 등이다.

이 가운데 분양가가 주변 시세의 70% 미만인 강남 보금자리주택은 전매금지 기간이 현행 10년에서 8년으로 줄어든다. 강남지구는 교통이 편리한 것은 물론, 인근지역 KTX 수서 역세권 개발지, 문정법조타운, 동남권 유통단지, 가든파이브 등이 인접해 있어 개발 호재가 많다는 장점이 있다.

분양가가 주변 시세의 70~85% 미만인 하남 미사지구는 전매제한 기간이 현행 7년에서 6년으로 단축되고 거주의무 기간도 기존 5년에서 3년으로 짧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남미사지구는 한강으로 흐르는 망월천을 연계한 실개천을 조성, 생태순환도시로 개발될 예정이다. 또한 자전거 도로를 지구 전체에 연결해 친환경적인 도시로 조성할 계획이다.

인천 구월지구의 전매제한 기간도 대폭 줄어든다. 분양가격이 주변 시세의 85% 이상이어서 현행 7년에서 4년으로, 거주의무기간은 5년에서 1년으로 큰 폭으로 단축될 것 같다. 이 아파트는 대회기간 동안 선수 숙소 등으로 임시 활용된 뒤 2015년 상반기 정식 입주 예정이다. 여의도 공원에 버금가는 21만5000㎡의 지구 내 공원을 조성해 주거환경이 쾌적할 전망이다.

이미 분양을 마친 단지들의 미분양 물량에도 관심을 가질 만하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선착순 공급 신청을 받는 고양 원흥보금자리지구가 대표적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대책으로 앞으로 공급되는 수도권 보금자리주택에 대한 무주택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라며 “그렇더라도 수요자들은 입지와 미래가치 등을 꼼꼼히 따져 청약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권영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