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돈 관리 사무총장에 서병수 … 박근혜계, 새누리 당 3역 장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서병수(左), 김영우(右)

새누리당이 ‘박근혜당’으로의 변신을 마무리했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21일 신임 사무총장에 서병수 의원을 기용했다. 대변인엔 계파 안배를 위해 재선의 김영우 의원을 임명했다. YTN 기자 출신인 김 의원은 이명박계로 분류되나 박근혜계와도 교분이 두텁다. 사무총장은 자금과 조직을 총괄하기 때문에 선거를 앞둔 시점에선 그 역할이 막중하다. 당초 사무총장 발탁이 가장 유력했던 인물은 박 전 위원장의 최측근인 최경환 의원이었다. 그러나 총선 이후 최 의원은 당내 파워게임 논란에 휩싸이면서 막후의 ‘큰손’으로 부각됐다. 최 의원이 사무총장을 할 경우 예상되는 ‘실세 총장’ 논란을 황 대표나 최고위원들은 부담스러워할 수밖에 없었다는 얘기다. 4선의 서 총장은 김무성 의원이 19대 국회 입성에 실패하면서 PK(부산·경남) 지역의 핵심인사로 부상했다. 대선 정국을 이끌어갈 황우여 대표, 서병수 사무총장은 공통점도 많다. 둘을 보면 박 전 위원장의 친소(親疏) 감각도 엿볼 수 있다.

 ①입이 무겁다=두 사람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입이 무겁다’는 점이다. 좀처럼 직설적인 화법을 쓰지 않는다. 비공개 사안에 대해선 여간해서 입을 여는 법이 없다. 굳이 언론에 알려야 할 일이 있으면 에둘러 표현한다. ‘입의 무게’는 박 전 위원장이 가장 중시하는 스타일 중 하나다. 박 전 위원장의 이학재 비서실장이나 대변인을 지냈던 이정현 의원도 비슷한 스타일이다. 박 전 위원장은 『고난을 벗삼아 진실을 등대 삼아』라는 수필집에 “말을 번드르르하게 잘하는 사람일수록 겉과 속이 크게 다른 법”이라고 적고 있다. 말이 앞서는 걸 싫어한다는 얘기다.

 ②소리 없이 일하는 실무형=판사 출신 황 대표는 실무형 대표란 평을 듣는다. 박 전 위원장은 ‘보스형’ 또는 ‘정무형’보다 ‘실무형’을 선호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온다. 황 대표는 2007년 이명박·박근혜 후보가 맞붙은 대선 후보 경선 때 사무총장이었다. 이때 황 대표는 중립적인 위치에서 경선을 잡음 없이 마무리했다는 평을 듣는다. 서 총장은 구청장 출신이다. 행정에 밝을 수밖에 없다. 4·11총선 때 새누리당은 수도권에 구청장 출신을 대거 공천했다. 박 전 위원장 핵심 측근 소리를 듣는 사람 가운데는 관료 출신이 많다. 최경환 의원이나 유정복 의원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들이 박 전 위원장의 ‘지침’에만 얽매일 경우 비박계 주자들이 불공정 경선 시비를 제기할 가능성도 커진 셈이다.

 ③모난 돌 아닌 둥근 돌=둘은 튀는 타입이 아니다. 말투도 부드럽고, 대인관계도 원만한 편이다. 둘 다 의욕을 부리며 무리하게 일을 추진하는 법이 없다. 그보다는 잡음 없이 마무리하는 걸 선호한다. 비대위 시절, 자신의 정치적 주관에 따라 발언을 아끼지 않 던 김종인 전 비대위원과는 정반대 유형의 정치인이다. 문제를 일으킨 적은 없으나 강단이 없다는 말을 듣기도 한다. 이 때문에 당의 ‘오너’ 격인 박 전 위원장에게 직언을 할 수 있겠느냐는 지적이 나온다.

▶박지원·김어준 고소한 박근혜, 이례적 강경대응 왜?
▶박근혜에 고소당한 김어준, 뭐하나 했더니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