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세대 P2P Groove [2]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각종 MP3들

P2P 서비스가 각광을 받게 된 것은 MP3의 등장에서 비롯된다. 컴퓨터를 이용해 손쉽게 음악을 들을 수 있는 MP3가 인터넷을 통해서 공개되면서 음반업체는 MP3로 인한 음반 판매의 손해를 막기 위해 MP3에 대한 제한을 가하게 되었고 그래서 MP3는 인터넷을 통해서 비용을 지불하고 구입을 해야 하거나 저작권 문제로 아예 인터넷으로 공개될 수 없게 된 경우도 있게 된 것이다. 하지만 공개된 서버에 공개되지만 못했을 뿐 실제적으로 각종 MP3 파일과 멀티미디어 파일은 Warez 등을 통해서 은밀하게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 사용자는 Warez를 찾아서 원하는 각종 파일을 검색하고 다운로드하는게 그리 수월하지 않기 때문에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못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냅스터의 MP3 파일들

그런데 P2P 프로그램의 등장으로 인하여 이러한 한계가 깨어지고 만 것이다. P2P는 개인 PC에 저장된 파일을 공유하는 것이고 손쉽게 이러한 파일들을 검색할 수 있어 Warez를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는 고급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된 파일이 P2P를 통해서 전 세계의 일반 대중에게 공유되고 이렇게 공유된 파일이 기하급수적으로 각 개인의 컴퓨터에 저장되면서 빠른 속도로 전파되는 것이다. 그런 이유로 인하여 P2P 서비스의 대표적인 기능 중 하나인 파일 공유 서비스는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P2P가 화두로 떠오를 수 있게 된 것이다.

하지만 P2P 서비스는 일반 사용자에게는 유용한 서비스이지만 실제로 P2P의 파일 공유 서비스를 통해서 전송되는 파일들은 저작권, 지적 재산권 등의 보호를 받아야 하는 파일이나 청소년에게 유해한 음란 파일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파일들이 어떤 제재도 받지 않고 인터넷 사용자에게 공개됨으로써 음반 업체나 영화 제작업체 등은 손해를 보고 사회적 측면에서도 청소년에게 유해 환경을 조성하는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런 이유로 미국의 대표적인 MP3 파일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냅스터(Napster)가 음반 제작업체의 법적 고소로 일시적으로 서비스 중지 사태까지 빚게 되었던 것이다.

그런 이유로 대중적인 기반을 구축한 파일 공유 서비스가 틀을 갖춰 가기 위해서는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지적 재산권과 저작권 보호를 위한 보안체계와 컨텐트의 과금 처리 부분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그 전에 앞서 네티즌들의 컨텐트는 공짜라는 시각을 버리고 컨텐트도 엄연한 상품이라는 인식과 함께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구입을 해야 한다는 인식에 동의해야 할 것이다. 결국 P2P의 대표적인 기능인 파일 공유 서비스가 보다 대중적이고 기업에서도 이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전자 상거래의 기반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보안과 결제 솔루션이 시급하게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 워터마크
그림출처 : http://www.markany.co.kr워터마크라는 기술은 음악, 동영상, 이미지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트에 숨겨진 코드를 삽입하여 저작권에 대한 기록을 남겨준다. 워터마크가 삽입된 컨텐트는 원 제작자 혹은 소유자의 저작권이나 사용권을 증명해주는 법적 효력이 있기 때문에 소유자의 허락없이 이러한 컨텐트를 유포하거나 사용한 사용자에게 제재를 가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것이다. 이 워터마크는 컨텐트가 복사되거나 편집되더라도 남겨져 있기 때문에 디지털 컨텐트의 저작권을 밝히는데 소중한 근거가 되는 것이다. 단 이 기술은 컨텐트의 보안이나 결제 방식과는 무관하고 단지 저작권, 소유권을 밝히는 근거 자료로서의 역할만 할 뿐이다. 실질적으로 디지털 컨텐트의 보안과 과금문제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으로써 해결되며 컨텐트 유료화가 활발하게 전개될 2001년부터는 DRM 솔루션이 크게 각광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P2P 서비스를 파일 공유 서비스만으로 국한하여 생각하는 것은 큰 오산이다. 냅스터, 누텔라, 소리바다 등의 대표적 P2P 프로그램 외의 다른 프로그램들은 다양한 방식의 서비스를 구현해준다. 예를 들어 Open4U는 P2P 기반의 경매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미국의 PayPal은 전자우편 기반으로 개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Groove라는 프로그램은 협업(Cooperation)을 가능케 해주는 공동의 공유 공간을 제공하는 방식의 발전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OOJOO
자료제공:pcBee(http://www.pcbe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