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재테크, "수익률은 5%미만, 손실률은 30%이상"

중앙일보

입력

올해 재테크에서 이익을 본 사람은 대체로 5%에도 못미치는 저조한 수익률을 올린 반면 손해를 본 사람은 손실률이 30%를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KBS 제 1라디오 `경제가 보인다’프로그램 제작팀은 21일 여론조사기관인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수도권 거주 20세 이상 700명을 대상으로 지난 12일 전화면접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올해 재테크를 통해 이익을 본 사람은 37.6%,손해를 본 사람은 11.3%였다.

그러나 이익은 본 경우 수익률이 5% 미만이라는 응답이 절반에 달했고 손해를 본 경우는 손실률이 30% 이상이라는 대답이 60%였다.

조사대상자의 재테크 수단은 은행저축 85.9%,주식 직접투자 4.8%,보험 5.2%,부동산 2.5%,주식 간접투자 1.6%의 순이었고 은행저축을 통해 이익을 본 경우는 41.3%,주식 투자를 통해 손해를 본 경우는 78%였다.

결국 올해 경기불황속에서도 소폭이나마 이익을 본 사람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은 아직도 재테크 수단으로 은행저축을 압도적으로 선호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또 주로 은행저축으로 이익을 내다보니 수익률이 한자릿수에 머물 수 밖에 없고 손실을 본 사람은 대부분 주식투자에 실패한 경우여서 손실률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내년 전망에 대해서는 저소득층은 비관적인데 반해 고소득층은 낙관적이어서 대조를 이뤘다.

우선 내년 소득이 올해보다 줄어들 것이란 응답이 26.1%,늘어날 것이란 답변이 20.9%로 비관적 전망이 다소 우세한 가운데 소득 감소를 예상한 계층은 주로 월 소득 100만원 이하의 저소득층과 자영업자였던 반면 소득 증가를 전망한 계층은 고소득층으로 나타났다.

또 내년 종합주가지수에 대해서는 월 소득 200만원 이하 계층은 600선 이하,200만원 이상인 계층은 600선 이상일 것이라고 응답했다.(서울=연합뉴스) 추승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