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20년 사용’ 약속 지키려 모든 부품 20년간 생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지난달 27일 서울 역삼동 밀레코리아 본사에서 안드레아 스톡 부문장이 상업용 세탁기를 하나하나 분해해가며 수리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밀레코리아]

“여기가 드럼통이 움직이면서 생기는 진동을 잡아주는 부문이죠. 주철로 되어 있는 거 보이시죠? 가격을 낮추기 위해 콘크리트를 쓰는 제품과는 확연히 다릅니다.”

 지난달 27일, 서울 역삼동 밀레코리아 지하창고에선 세탁기 분해 작업이 한창이었다. 2900만원가량 하는 상업용 세탁기를 분해해 수리 기술자들에게 구조와 수리법을 가르치는 교육이었다. 이 교육을 위해 독일 본사에서 기술교육 부문장이 날아왔다. 안드레아 스톡(50) 부문장이다. 생활 가전 제품으로 100년 이상 기업을 영속시켜온 비결을 묻자 스톡 부문장은 주철 지지대 얘기를 꺼냈다.

 “우리 목표는 싸게 만드는 게 아닙니다. 다르게 만들어서 제값을 받는 거죠. 덕분에 프리미엄 시장을 개척할 수 있었고, 후발 기업의 눈부신 성장에도 시장에서의 우위를 지킬 수 있었어요.”

 기술교육 부문장이 세계 40여 개국을 다니며 수리 기술자들을 직접 교육하는 것도 남다른 제품을 위해서다. 글로벌 기업 대부분이 생산공장을 중국 등지로 이전하고 있지만 밀레는 여전히 독일 생산을 고집하고 있다. 품질 및 기술 관리를 위해서다. 할아버지와 아버지를 거쳐 아들까지 엔지니어로 일하는 ‘50년 밀레 집안’이 있을 정도다. 그렇다 보니 독일을 제외한 국가의 기술자들은 제품 내부를 들여다볼 일이 많지 않다. 그래서 일년에 두 차례씩 기술교육을 한다. 한 번은 스톡 부문장이 각국 법인을 찾고, 한 번은 각국 기술자가 독일 본사를 찾는다.

 ‘20년을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란 슬로건 역시 완벽을 추구하는 밀레의 기업 정신에서 나왔다. 일주일에 1시간 정도 쓰는 진공청소기의 경우 20년 동안 쓴다고 할 때 1000시간 사용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밀레 공장에선 각 생산라인 맨 끝에 있는 두 개의 제품을 골라 1000시간을 쉬지 않고 작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면 해당 라인 제품 전체를 폐기한다. 세탁기는 1만 시간의 작동 테스트를 거친 후에야 공장을 나갈 수 있다. ‘20년 사용 제품’이란 고객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부품 역시 20년간 생산한다. 스톡 부문장은 “이게 바로 장인정신”이라고 말했다.

 밀레는 무차입 경영으로 유명하다. 1910년 자동차 사업에 손을 댔다 2년 만에 접었던 것도 이 원칙을 지키기 위해서였다. 주문이 밀려 공장을 확장해야 했는데 그러려면 돈을 빌려야 했던 것이다. 스톡 부문장은 “무차입 경영이 있기 때문에 실적에 연연하지 않고 장기 투자와 기술교육이 이뤄질 수 있다”며 “단순히 빚이 싫어서가 아니라 장인정신을 지키기 위해서 무차입 경영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래서일까. 밀레의 제품은 타사 제품에 비해 2배 이상 비싸지만 국내에서 매년 10%가량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그는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삼성·LG전자의 텃밭이라는 점에서 한국 시장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성공하면 어떤 국가에서도 경쟁력이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그렇다고 한국만을 위한 특별한 전략을 쓰는 건 아니다. 오히려 배송차량까지 밀레 로고가 붙은 직영만 고집할 정도로 독일색을 강조한다. “아시아 고객은 유럽 고객보다 더 유럽 스타일을 좋아합니다. 가장 독일적인 것, 가장 유럽적인 게 아시아에서 오히려 잘 먹히더군요.” 한국을 넘어 중국과 아시아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으려는 밀레의 전략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