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죽음의 계곡’ 건넌 돈 사냥꾼 … 달리오 작년 39억 달러 벌어 1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헤지펀드 매니저들 사이에서 지난해는 ‘죽음의 계곡(Valley of Death)’으로 통한다. 투자 성적표가 2008년 미국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나빴다. 헤지펀드 리서치회사인 유레카헤지와 투자전문지인 AR매거진은 “평균 10% 정도 손해봤다”고 최근 발표했다. 이는 어디까지나 평균치일 뿐이다. 치명상에 가까운 부상을 입은 매니저도 있다. 바로 존 폴슨(57) 폴슨앤컴퍼니 회장이다. 그는 원금의 57%를 까먹었다.

 폴슨이 누구인가. 헤지펀드 세계의 수퍼 스타였다. 한 해 전인 2010년 성과 보수 등으로 모두 50억 달러(약 5조6000억원)를 챙긴 인물이다. 2007년엔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를 예측해 200억 달러(약 22조4000억원)를 벌어 투자자들과 나눠 갖기도 했다. 반면에 레이먼드 달리오(63) 브리지워터 회장은 그 계곡을 무사히 지났을 뿐만 아니라 적잖은 전리품까지 챙긴 것으로 확인됐다. 유레카헤지 등에 따르면 헤지펀드 브리지워터의 지난해 수익률은 16%. 달리오 회장은 39억 달러를 챙겼다. 그 결과 그는 글로벌 수익 랭킹 1위에 올랐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달리오의 비결은 미 국채 투자였다. 그는 미 재무부 채권 값이 오른다는 데 베팅했다. 세계 최대 채권펀드인 핌코(PIMCO)의 빌 그로스나 존 폴슨과 정반대였다. 두 사람은 지난해 지극히 상식적인 판단을 내렸다. 미국의 나라 살림이 어려워져 채권을 많이 찍어내면 값이 떨어질 것으로 봤다. 반면에 달리오는 “미국만 재정이 불안한 게 아니다. 유럽도 마찬가지다. 이런 때 미 국채 수요가 더 늘어날 것”으로 봤다.

 시장은 달리오 편을 들어줬다. 유럽 재정위기가 더욱 나빠지면서 돈이 안전 자산(미 국채)으로 쏠렸다.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도 달리오를 거들고 나섰다. 그는 단기 채권을 팔고 장기 채권을 사는 트위스트 작전을 펼쳤다. 덕분에 달리오가 보유한 장기 국채 값이 올랐다.

 또 다른 생존자는 바로 ‘기업 사냥꾼’ 칼 아이칸(76) 아이칸캐피털매니지먼트 회장이다. 이 회사는 34%의 수익률을 올렸고 아이칸은 25억 달러의 소득을 챙겼다. 그는 달리오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수익률은 더 높았지만 자산운용 규모가 더 작고 성과 보수도 덜 챙긴 때문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헤지펀드 매니저들은 투자자들과 계약을 맺고 투자 원금의 4~7%를 운용보수로, 투자 수익의 10~30%를 성과 보수로 챙긴다. 여기에다 개인 투자분이 낳은 수익이 더해져 한 해 소득이 결정된다.

 아이칸은 지난해 주특기인 ‘기업 사냥’으로 맹활약했다. 그는 천연가스회사인 엘파소, 이동전화 메이커인 모토로라, 에너지회사인 체사피크 등의 지분을 사들인 뒤 이사 자리를 차지했다. 곧바로 경영자들을 압박했다. 회사를 구조조정해 팔도록 했다. 대성공이었다. 엘파소 등의 인수합병(M&A)이 지난해 줄줄이 성사됐다. 랭킹 3위엔 제임스 사이먼(74) 르네상스테크놀로지 회장이 올랐다. 그는 21억 달러를 벌었다. 그는 2008~2009년 엄청난 손실을 입었다. 일부 투자자들이 펀드 운용에서 손을 떼라고 요구할 정도였다. 결과론이지만 다행히 그는 자리를 지켰다. 그리고 지난해 34% 수익을 올렸다. 운용 자금의 80%로 미국과 해외 주식을 사들였고 20%는 공매도한 게 주효했다.

 이들 외에 케네스 그리핀(44) 시타델 회장이 주식·전환사채·에너지를 주로 사들여 수익률 22%를 기록해 7억 달러를 벌었다. 또 스티븐 코언(55) SAC캐피털어드바이저스 회장은 에너지·유통·기술 주에 투자해 8% 정도 수익을 냈다. 그는 5억8500만 달러를 손에 쥐어 글로벌 랭킹 5위에 올랐다.

 유레카헤지는 “지난해 매니저 상위 25명이 챙긴 돈은 모두 144억 달러(약 16조1280억원) 정도”라며 “이는 2010년 220억 달러보다 34.5% 정도 줄어든 액수”라고 설명했다. 존 폴슨은 25명 안에 들지 못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