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미사일 강행 때 후속 대응…오바마·후진타오 “긴밀 협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오바마 미국 대통령(왼쪽)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26일 회담에 앞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AP=연합뉴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은 26일 북한의 로켓발사 계획에 “심각한 우려”를 표시하고 발사 후 필요한 조치에 대해서도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핵안보정상회의 참석차 방한한 두 정상은 이날 서울에서 한반도 정세와 양자 간 현안을 논의하면서 이같이 합의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회담에서 후 주석에게 미국은 북한과 대화를 시작할 의사가 있다면서도 그것은 북한이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지킬 때만 가능한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 백악관 고위 관계자가 전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는 (후 주석에게) 기꺼이 북한과 대화를 할 의향이 있다고 말했지만 북한이 로켓 발사를 강행할 경우 더 나아갈 수 없다는 점도 분명히 밝혔다”고 말했다. 이에 후 주석은 북한의 로켓 발사 계획에 “심각한 우려”를 표시했다고 벤 로즈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부보좌관이 전했다.

로즈 부보좌관은 기자들과 만나 북한 문제가 이날 양국 정상회담의 첫 번째 의제였다면서 이같이 전하고 “두 정상은 이러한 잠재적 도발에 대처하고 북한 측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는 한편 필요하다면 위성발사 이후 어떤 조치가 필요한지 검토하는 데 긴밀히 협조해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회담을 시작하면서 북한과 이란의 상황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힌 뒤 중국과 미국은 핵 비확산 문제에서 공통의 이해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25일 이명박 대통령과의 회담 후 “중국은 북한과 국경선을 맞대고 있고 북한의 잠재적인 불안정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것을 잘 안다”면서 “하지만 중국이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원치 않는다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미·중 정상회담에 앞서 후 주석이 한반도의 긴장완화를 방해하는 상황이 없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후 주석은 “현재 (한반도의) 상황은 매우 복잡하며 민감하다. 우리는 한반도의 긴장완화를 위해 어렵게 조성된 계기가 반전되는 상황을 보는 것을 원치 않는다”면서 모든 관계 당사국들이 냉정하게 자제를 해줄 것을 당부했다고 신화통신은 전했다. 후 주석은 또 "미국은 북한과 계속 대화하면서 이미 이룩한 공통인식을 유지하길 중국은 바란다”고 했다. 북한의 로켓 발사에 대해선 불만을 나타내면서도, 북한에 대한 일방적인 압력 행사에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셈이다.

 오바마 대통령과 후 주석은 이 밖에 무역 불균형 문제를 비롯한 양국 간 현안, 이란 핵개발 의혹과 시리아 사태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