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평화·광주·제주은행 공적자금 6조원 필요

중앙일보

입력

경영개선계획 불승인 판정을 받은 한빛.평화.광주.제주은행 등 4개 은행은 부실을 털기 위해 6조원의 공적자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는 당초 이들 은행이 경영개선계획서에 제출했던 4조2천500억원보다 1조7천500억원 이상 늘어난 금액이다.

한빛은행은 당초 3조7천억원의 공적자금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으나 고정이하여신 비율 0% 달성 시기가 내년말에서 올해말로 당겨지고 현대건설과 쌍용양회 문제가 새로 불거짐으로써 1조3천억원 가량 추가로 공적자금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종휘 한빛은행 종합기획부장은 "고정이하여신 2조원을 내년까지 털어낸다는 계획아래 공적자금 소요를 추정했으나 금융당국이 고정이하여신비율 '제로' 달성 시기를 올해말로 앞당김으로써 이 여신에 대해 8천억∼9천억원 정도의 추가 공적자금이 필요해졌다"고 말했다.

이 부장은 또 "이외 29개 퇴출기업과 관련해 2천억원 가량이 필요해졌고 2천210억원의 여신을 갖고 있는 현대건설 및 쌍용양회 처리결과에 따라 2천억∼3천억원 정도의 공적자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광주은행은 당초 4천억원의 공적자금을 요청했으나 수정 공적자금 요청 규모는 이보다 조금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송재관 광주은행 본부장은 "퇴출기업 관련 추가 소요는 15억원밖에 안되지만 고정이하 여신비율을 3%이하로 낮춘다는 기준에서 4천억원을 제시했기 때문에 금융당국이 고정이하 여신비율을 더 낮출 것을 요구해오면 추가로 1천억원 안팎이 필요해진다"고 말했다.

제주은행은 당초 1천500억원의 공적자금 지원을 요청했으며 퇴출기업 처리에 따른 별다른 영향이 없다고 말했다.

평화은행은 당초 카드 부문을 분리해 SK㈜와 자회사를 공동 설립하고 프리미엄조로 3천200억원 규모의 현금을 확보하는 한편 부실여신 매각에 따른 손실을 보완하기 위해 BIS(국제결제은행)
비율 10%를 기준으로 1천300억원의 예금보험공사 채권지원을 요청했다.

평화은행은 지난 6월말 현재 5천185억원인 고정이하여신(비율 13.59%)
을 자산관리공사 주도 CRV(기업구조조정전문회사)
에 연말까지 매각, 고정이하 여신비율을 2.05%까지 낮춘다는 계획이었으며 이 부실자산 매각으로 2천300억원의 손실이 발생할것으로 예상, 1천300억원의 예보채 지원을 요청했었다.

문재영 평화은행 리스크관리부장은 "4천500억원의 고정이하여신 매각에 따른 2천300억원 손실예상치를 산정하면서 대우차 여신에 대한 손실률을 73.6%로 반영했기때문에 대우차가 부도나도 영향이 없다"고 말했다.

문 부장은 그러나 "경영개선계획서 제출이후 동아건설 법정관리로 인해 55억원의 추가 소요가 발생했고 여신(회사채 포함)
이 1천800억원인 현대건설 처리결과에 따라 추가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평화은행은 카드사업부 매각을 전제로 현대건설이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예보채 지원 요청액이 2천억원 정도로 늘어날 전망이다. (서울=연합뉴스)
황정우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