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수함 사령부 2015년께 창설 … 올 예산에 배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군이 답보상태였던 해군의 잠수함 사령부 창설을 본격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본지가 국회 국방위를 통해 입수한 국방예산 세부안에 따르면 해군은 올해 잠수함 사령부 창설 비용으로 6억3900만원을 배정받았다.

 국회 관계자는 15일 “2015년까지 창설을 목표로 부대운영 용역 등의 비용으로 예산이 반영됐다”고 말했다. 잠수함 사령부는 원래 노무현 정부 시절 2012년을 목표로 추진됐으나 현 정부 들어 미뤄져 왔다. 지난해 군이 발표한 국방개혁 307계획의 73개 세부내용에도 잠수함 사령부 창설은 빠져 있었다. 게다가 국방부도 올해 초 예산안 설명 과정에서 이 부분을 부각시키지 않아 일부에서는 잠수함 사령부 창설이 무산됐다는 시각도 있었다.

 그러다 올해 예산에 반영됨으로써 창설 작업이 궤도에 오르게 된 것이다. 국회 관계자는 “북한은 70여 척의 잠수함을 보유하고 있는 데 비해 우리 군은 10여 척만 보유하고 있다”며 “잠수함은 은밀하게 침투해 작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략무기로 분류되는데도 북한과 전력차가 크기에 잠수함 사령부 창설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현재 우리 해군은 209급(1200t) 잠수함 9척과 214급(1800t) 3척을 포함해 10여 척의 잠수함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준장을 단장으로 하는 전단을 운영 중이다. 2015년 잠수함 사령부가 창설되면 부대 규모가 함대급(사령관은 소장)으로 확대된다.

 해군은 중기발전계획에 잠수함 사령부 창설을 포함시키고 있으며, 이를 위해 214급 잠수함 수 척을 건조 중이다. 또 3000t급 잠수함 건조를 위한 연구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