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민 대입 통로 된 농어촌 특별전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감사원이 대학 입학 특별전형 비리를 조사한 결과 농어촌 특별전형 합격자 중 상당수가 부정 입학 소지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환경이 열악한 농어촌 지역 학생들을 위해 마련된 ‘농어촌특별전형’이 약은 도시민들에게 악용돼 왔다는 얘기다

 감사원 관계자는 11일 “전국 4년제 대학 2009~2011년 합격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해 부정 입학 의심 사례를 찾아냈다”며 “이달 중 조사 결과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감사원 주변에선 400여 명이 조사 선상에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서울 소재 유명 대학 합격생도 상당수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대는 2010년부터 지역균형선발제도가 도입되면서 농어촌특별전형 제도가 폐지됐고, 연세대와 고려대는 부모와 자식이 6년 동안 함께 농어촌 읍·면·리에서 거주해야 농어촌 전형에 지원할 수 있다. 나머지 대학은 부모와 자식이 3년간 읍·면·리에서 거주하면 지원 자격을 준다.

하지만 조사 대상 합격생들은 자신들이 농어촌 소재 고등학교를 다니는 동안 부모들은 주소만 옮겨놓은 경우였다. 위장전입이다. 전국 4년제 대학의 농어촌특별전형 선발 인원은 정원의 4% 이내다. 지난해 전국 4년제 대학 농어촌특별전형 모집 인원은 1만2000명이었다.

조현숙·윤석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