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침체 여전, 수도권과 격차 심화'

중앙일보

입력

최근 경제가 호전됐지만 일부지역은 여전히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수도권과의 격차는 심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3일 지역경제 분석보고서를 통해 전통산업의 정체와 디지털혁명의 도래 등에 따라 첨단 및 정보기술(IT)산업이 집중돼 있는 수도권과 타지역간의 격차는 앞으로 더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경제의 경우 수도권과의 격차 뿐만 아니라 지역별로도 큰 차이를 드러냈다. 올 2.4분기 산업생산지수를 비교하면 경기와 제주는 97년 3.4분기와 비교해 1.7배로 증가했지만 부산과 강원 등은 0.9배 수준으로 외환위기 이전보다도 못했다.

또 부산과 광주, 인천은 실업률이 5%를 넘어서는 등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게다가 기업부설연구소의 73%가 수도권에 위치해 기술개발 역량이 편중돼 있으며 지난 7월말 현재 전국 7천700개 벤처기업중 수도권에 70%에 해당하는 5천500개가 몰려 있고 특히 정보.컴퓨터 등 첨단 IT분야의 84%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이같은 경제력의 수도권 집중으로 인해 인구과밀 등에 따른 비효율이 점점 더 심각한 문제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연구소는 지역편차의 심화는 지역경제에 대한 장기비전과 발전전략 부재가 원인이 됐다고 분석했다.

특히 과거 전통산업과 양적발전에 의존한 지방개발전략이 실패로 끝나면서 8월 현재 전국 16개 시.도의 부채만 18조원에 달하며 연간 이자부담도 1조원을 넘어서고 있는 등 지역경제와 지방재정을 더욱 악화시켜왔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연구소는 최근들어 부산과 대구에서의 신발과 섬유 등 전통산업을 이용한 고부가가치화 시도와 충남 금산의 인삼 등을 이용한 환경친화적인 발전전략, 전남 함평의 나비축제와 같은 경제성 있는 이벤트 산업 등 과거 하드웨어에 치우쳤던 개발전략이 소프트웨어 위주로 전환되고 있어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소는 또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중심으로의 관점의 전환과 더불어 단기적인 개발전략에서 탈피하고 10년을 내다본 첨단산업 육성, 30년을 지향하는 인재양성, 50년이후를 기약하는 생태환경 보전 등과 같은 차별화된 전략을 토대로 발전전략을 마련해야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재홍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