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트랜드를 주도할 벤처캐피탈리스트를 원한다

중앙일보

입력

인력수급은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가.

우리회사는 인력채용에 특별한 형식에 두고 있지 않다.
필요한 인력이 있는 경우에 언론매체에 공고하거나 사원들의 인재추천 등으로 사람을 뽑고 있다.
면접은 담당 팀장이 1차적으로 본 후, 마지막으로 사장과 이사 등 임원들과 면접을 보는데 면접이라고 해서 특별하게 딱딱하고 격식을 차리는게 아니라 자유로이 토론하는 것처럼 진행되어 진다.
사장님이 깨어있는 마인드를 지니신 분이라 면접시 앞서나가는 감각을 가지고 있고 튀는 아이디어를 지닌 사람을 주로 뽑는다.

어떤 특별한 인재상이 있는지.

자유롭되 자기 일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을 원한다.
해당업종에 관한 지식도 있어야 겠지만 그것보다 중요한건 시장의 흐름을 읽어내고 투자대상을 찾아내는 비즈니스 감각이다. 우리 회사에서 면접시 중요하게 보는 점은 바로 그 점이다.

무한기술투자만이 가진 독특한 문화가 있다면.

우리회사는 특별한 제도가 없이 수평적 체계에서 자유로이 업무가 진행되고 있는데 특이할만한 제도를 꼽자면 ''팀장제''가 있다.

벤처투자팀의 경우, 각 팀마다 얼마의 투자액이 배당되어 있어 그 투자액 안에서 팀이 독립적으로 벤처회사를 screening, 심사, 투자 결정하여 투자 관리, 투자 회수를 운영하고 있다. 투자가 성공한 경우에는, 팀마다 연봉이외에 성과급이 주어지는 인센티브제가 있으므로 각 팀들은 의욕적이고 신중하게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회사의 ''팀장제''는 다른 회사와 달리 팀에 최대한 권리를 부여해 웬만한 업무는 해당 팀안에서 팀장을 중심으로 일을 신중하고 신속하게 처리해 나갈 수 있게 한다. 즉, 각 팀이 하나의 독립된 회사처럼 움직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팀간의 독립성이 강한데 사내 특별한 커뮤니케이션 제도는 없는지.

물론 각 팀마다 개성이 강하고 독립적이므로 팀간에 교류가 많지 않은 건 사실이다.
하지만 ''유능한 아이디어와 가능성을 지닌 업체를 찾아내 커나갈 수 있도록 투자, 항상 새롭고 앞선 벤처 투자트랜드를 만들어나간다''라는 기본 마인드아래 단단한 조직력을 갖고 움직이기 때문에 의사소통에 특별한 어려움은 없다.

귀사에 지원하려는 벤처캐피탈리스트들에게 한마디 한다면.

일반적인 인식의 벤처캐피탈리스트하면 기록적인 투자수익률을 내고 높은 연봉을 받는 사람들로 인식하고 있는데 우리 회사는 단순히 투자수익률을 높이는 사람이 아닌 각 분야에서 새로운 지평을 열만한 참신한 아이디어와 기술을 찾아내 과감히 지원할 수 있는 벤처캐피탈리스트를 원한다.
실패할 수도 있지만 단순한 투자수익률을 높이는데 급급하지 않고 새로운 벤처투자의 트랜드를 주도해나가기 위해 노력하면 성공적인 투자로 이어진다는 것이 회사의 기본적인 문화이다.

벤처캐피탈은 벤처들이 새로운 아이디어와 이노베이션에 필요한 지원을 해주는 촉매제 역할을 해야 한다. 이 때문에 벤처캐피탈리스트들은 수동적인 투자자의 역할에서 벗어나, 경영지도나 기타 창업자가 놓치기 쉬운 부분을 메꿔 주며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잘 수행해야 한다.
그러므로 벤처캐피탈리스트도 사업의 전망을 제대로 분간해낼 줄 아는 사람, 그리고 추가적인 경영지원을 통해 가치창출을 해낼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그런 사람이야말로 우리 회사에서 원하는 사람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