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국정 안정론 38% vs 여당 견제론 53%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총선에서 유권자들이 후보자 또는 정당을 선택하는 판단 기준과 관련해 수도권에선 안정론보다 견제론이 더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정 안정을 위해 한나라당 후보를 찍어야 한다”는 응답은 9곳 평균 37.5%인 데 비해 “여당 독주를 막기 위해 야당 후보를 찍어야 한다”는 응답은 52.9%였다. 안정론이 상대적으로 높은 곳은 서울 종로(44.9%), 성남 분당을(41.6%), 서울 강서을(37.7%) 등이었다. 이에 비해 견제론이 높은 곳은 고양 일산서(57.4%), 서울 은평을(57.0%)과 구로갑(54.7%) 등으로 집계됐다. 관심이 몰리는 부산진을, 북-강서을, 사상 등 부산의 세 지역구에선 안정론 대 견제론의 비율이 41.8% 대 50.3%(세 곳 평균)였다. 문성근 국민의명령 대표가 출마하기로 한 북-강서을 지역 유권자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견제론을 나타냈다(안정론 39.9% 대 견제론 52.3%). 한나라당이 전통적으로 우세한 대구 중-남에선 안정론이 53.7%로 견제론(40.8%)보다 높았고, 경남 사천 역시 안정론(45.4%)이 견제론(41.6%)보다 다소 높은 편이었다.

 지역구 현역에 대한 물갈이(“올 4월 선거에서 다른 인물로 바꾸는 것이 좋겠다”) 요구는 조사 대상 수도권 9곳에서 평균 56.9%로 나타났다. 특히 영남권 4개 지역구(부산진을, 북-강서을, 대구 중-남, 경남 사천)에선 평균 66.6%라는 높은 응답이 나왔다. 이들 지역구에서 현역 의원에 대한 교체 요구와 공천 경쟁이 심해질 것임을 보여주는 수치다.

신창운 여론조사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