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건자재 시장현황과 2010년 수요동향

중앙일보

입력

건자재 산업은 건축업과 함께 중국경제에 있어 지주산업으로
불리우고 있으며 향후 40여년동안은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되는 분야이다. 관련업계는 중국이 WTO에 가입하더라도 제
품의 특성상 단시일내 외국제품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WTO가 건자재시장의 발전에 유리할 것으로 내다
보고 있다.

건자재 산업은 자원, 에너지소모량이 큰 노동집약형 산업이다.
또한 제품이 체적이 크고 가치가 적으며 파손이 쉬운 특성을
갖고 있어 장거리 운송에 불리하며 현지 생산이 위주가 될 수
밖에 없다.

WTO에 가입하면 건자재의 수입관세가 인하되겠지만 현재 위생
도자기(45%), 석고판(28%), 자기타일(25%)에 대해서만 비교적
높은 관세율을 적용하고 있고 기타 건자재는 모두 낮은 상태이
기 때문에 관세율 인하폭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상태이다.
즉 중국이 WTO에 가입한 후에도 외국제품이 대량으로 중국에
진입하기는 어렵다.

중국정부가 개혁개방을 실시한 후 중국의 건자재산업은 급속히
발전하여 시멘트, 유리, 위생도자기 등 주요 제품의 생산량이
오랜동안 세계 수위를 유지하였다. 또한 품질도 크게 향상되어
일부 제품은 수입품보다도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 주요 건자재 발전현황

---------------------------------------------------------
품 종     1980년  1998년 세계생산량   세계 1위
       생산량  생산량 중 점유비중   지속년도수
----------------------------------------------------------
시 멘 트(억 톤) 0.79  5.36    38%      14
평판 유리(억상자) 0.25 1.72    28%      11
건축도자기( 억㎡ ) 0.13 15.94    36%      8
위생도자기(만 개) 292  5,146    22%      8
----------------------------------------------------------
특히 중국 국내무역국과 건설부 정보센터가 최근에 발표한
2010년 건자재 시장수요 예측치에 따르면 신형건축재료의 시장
잠재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중국의 건자재시장을 세분할 경우 외국업체가 우위를 차
지하는 시장도 적지 않다. 세부적으로 전통적인 건자재의 경우
고품질의 우위점을 이용하여 대형 빌딩이나 별장 시장에 진출
할 수 있고, 화학건자재의 경우 환경보호, 인체건강보호 등 우
위점을 이용하여 도시 신규 주택건설시장에 진출할 수 있다.
또한 TOTO, American standard, ROCA 등 위생도자기 생산업체
들은 중국에서 현지생산을 하고 있는바 기타 제품에 대한 중국
현지생산의 가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中國建材商務網)

*본 정보는 한중교류중심 제공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