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청백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물자가 풍부했던 중국 양자강 남쪽 광주(廣州)의 석문(石門)에 탐천(貪泉)이란 샘이 있었다. 한 모금 마시기만 하면 한이 없는 욕심(無厭之欲)이 생긴다는 샘물이었다. 진(晉)나라 때 광주자사(刺史)로 부임하던 오은지(吳隱之)는 이 샘물을 마시고 “옛사람은 이 물 한 모금 마시면 천금만 생각한다지만 백이(伯夷)·숙제(叔齊)에게 시험해 보면 끝내 그 마음 바꾸지 않을걸세(古人云, 此水,一懷千金, 試使夷齊,, 終當不易心)”라는 부시(賦詩)를 남겼다. 『진서(晉書)』 『양리열전(良吏列傳)』 ‘오은지’조에 나오는 일화다. 오은지처럼 돈을 초월한 관료를 청백리(淸白吏)라고 한다. 리(吏)는 아전 같은 하급 관료를 뜻하기 때문에 대한제국기에 편찬된 『청선고(淸選考)』는 ‘청백(淸白)’이라고만 표현하고 있다.

 세종 때 우의정을 지낸 유관(柳寬)이 대표적인 청백리다. 장맛비에 천장이 새자 방 안에서 우산을 펴고는 부인에게 “우산이 없는 집은 어떻게 견디겠소”라고 말하자 부인이 “우산 없는 집은 반드시 다른 대비가 있을 것입니다”라고 쏘아붙였다는 이야기가 『동국여지승람』 ‘한성부’조를 비롯해 여러 문헌에 전한다. 성호 이익은 『서애청백(西厓淸白)』에서 선조 때의 청백리였던 서애 유성룡의 사례를 들고 있다. 유성룡이 처음 벼슬할 때 동고(東皐) 이준경을 찾아가니 ‘벼슬하는 사람은 근기(近畿: 서울 근교)에 장사(庄舍: 농장)가 있어야 편리하다’고 충고해서 속으로 불만스럽게 생각했다. 훗날 갑작스럽게 조정에서 쫓겨나 사찰에 우거하면서 군박(窘迫: 몹시 구차함)하게 되자 이준경의 말이 이치가 있다고 느꼈다는 이야기다. 이익은 『서애청백』에서 유성룡이 세상을 떠났을 때 자식들은 “추위와 굶주림에 살아갈 수가 없었다”고 말한다. 대를 이은 청백리를 청백전가(淸白傳家)라고 하는데 조정에서는 청백리의 자손을 찾아서 서용(敍用)하라는 명을 자주 내렸다.

 그러나 이익이 『청렴과 탐욕(廉貪)』이란 글에서 ‘조정에서 매번 청백리의 자손을 녹용(錄用)하라는 명을 내리지만 뇌물을 쓰는 자가 차지하고 나머지는 모두 초야에서 굶주려 죽고 만다’고 비판했듯이 좋은 자리는 대부분 탐욕스러운 자들의 차지였다.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은 많은 젊은이가 선망하는 포스코를 일구고도 주식 한 주 갖지 않은 현대판 청백리다. 다만 대일청구권 자금으로 설립된 포스코가 위안부 할머니들의 삶까지 보살폈다면 금상첨화였으리란 아쉬움이 든다.

이덕일 역사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