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IT + 생명공학’ U 헬스 … 의식 불명 소은이 살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양한광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

지난달 30일 오후 2시 경기도 성남시 분당서울대병원 응급실에 소은(8·여·가명)이가 실려왔다. 간질 발작을 일으켜 의식이 없는 상태였다. 사흘간 무심코 약을 끊은 게 화근이었다. 소은이가 병원에 왔을 때 소아청소년과 담당 교수는 지하 3층에서 회의 중이었다. 담당 교수는 전화를 받고 즉시 태블릿PC를 꺼내 병원의 진료정보시스템에 접속했다. 혈액·동공반사 등 응급실 의료진의 검사와 진찰 소견, 최근의 뇌 자기공명영상촬영(MRI)과 뇌파 검사 결과, 3년간의 진료 기록 등 소은이의 모든 정보가 떴다. 지체 없이 약물을 처방하고 뇌파 검사를 지시했다. 신속한 조치 덕분에 소은이는 이틀 만에 퇴원했다. 분당서울대병원의 클라우드 기반 모바일 진료시스템 덕분에 가능한 일이다. 만약 이런 게 없었다면 담당 교수는 자기 진료실로 가 PC를 켜서 소은이 자료를 확인했을 것이다. 10~20분 진료 시간을 앞당긴 셈이다.

 모바일 시스템은 회진(回診) 때도 위력을 발휘한다. 태블릿PC로 환자 자료를 불러내 설명한다. 말로 할 때보다 훨씬 생생하다. 희귀병을 앓는 동훈(12·가명)군의 어머니(48)는 “병실에서 각종 검사 사진을 보며 설명을 들으니 쉽게 이해가 된다”고 말한다. 분당서울대병원은 8월 의료진에게 450대가량의 아이패드(태블릿PC)를 지급해 진료에 활용하고 있다.

 U헬스, 즉 유비쿼터스 헬스(ubiquitous health)의 한 장면이다. 정보통신기술을 생명공학에 접목해 예방·진단·치료·관리 등의 보건의료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받을 수 있게 됐다. 세계 의료계가 U헬스에 매달리고 있다. 미국의 클리블랜드클리닉은구글·마이크로소프트와 손잡고 개인이 손쉽게 의료기록을 저장·관리하는 온라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도 2009년부터 법무부와 업무협약을 맺고 전국 12개 교정시설 수용자를 원격진료(화상카메라 등 진찰장비를 이용한 온라인 진료)하고 있다. 공상과학영화의 한 장면처럼 가정에서 눈동자를 스캔하고 시계에 설치된 센스가 인체 정보를 감지해 병원으로 전송하고 바로 의사 상담을 받는 시대가 멀지 않았다.

양한광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