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36만원 … 수도권 가구당 빚, 지방의 2배 … 비싼 집 대출 탓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소득수준이 가장 높은 수도권 거주자가 빚에 가장 허덕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다 보니 가계가 실제 쓸 수 있는 가처분소득은 수도권과 지방 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14일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의 ‘2011년 가계금융 조사’에 따르면 수도권 거주자의 연간 경상소득은 평균 4349만원으로 비수도권 거주자(3701만원)보다 648만원 많았다. 하지만 여기서 세금·연금·이자 등을 제외한 가처분소득은 3485만원으로 비수도권(3096만원)보다 389만원 많은 것에 그쳤다. 교육비·식비 같은 다른 필수 비용까지 감안하면 이 차이는 더 줄 것으로 분석된다. 격차를 줄인 주범은 바로 빚이다. 수도권 거주자의 부채는 7336만원으로 비수도권(3241만원)보다 배 이상 많았다. 부채 규모도 수도권의 경우 지난해보다 15.7%나 늘어 빚이 느는 속도에서 비수도권(9.4%)을 크게 앞질렀다.

 서울·경기 거주자들이 빚에 허덕이는 것은 높은 집값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수도권의 평균 담보대출액은 3993만원으로 비수도권(1796만원)의 배를 넘는다. 집을 사는 데 빚을 많이 져 매달 나가는 이자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수도권 거주자의 가처분소득 가운데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20.9%로 금융위기 직전인 미국(18.6%)보다 높은 수준이다. 그만큼 수도권 거주자의 재무건전성이 나쁘다는 뜻이다.

 삼성경제연구소 정영식 수석연구원은 “소득에 비해 과도한 부채를 지게 되면 경기침체로 소득이 줄거나 집값이 하락할 때 타격을 받게 된다” 고 말했다.

 빚은 비단 가계만의 문제는 아니다. 증권업계 등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민간기업·공기업·정부·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부채 총액은 3283조원로 나타났다. 사상 최대다. 지난해 같은 기간(3106조원)보다 5.7% 늘어난 것으로 조만간 3300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공기업의 부채 증가 속도가 가파르다. 공기업의 부채 규모는 305조원에서 353조원으로 같은 기간 15.9% 증가했다. 주요 공기업이 세종·혁신도시, 4대 강 공사 등 대규모 국책사업에 동원된 탓이다.

손해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