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섭취 관련 뇌 구역 해독

중앙일보

입력

미국의 과학자들이 인간의 음식섭취와 관련한 뇌 구역을 해독했으며 뇌가 어떤 방식으로 음식물에 반응하고 풍족감을 전달하는데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지를 처음으로 밝혀냈다.

과학잡지 네이처에 28일 실린 미국 플로리다 대학의 이전 류 교수 등의 연구결과는 비만 및 무절제한 식사에 대한 새로운 치료를 가능케 하는 동시에 뇌가 음식섭취에 어떤 방식으로 반응하는 지를 이해하는 길을 연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번 연구에서 복잡한 뇌 촬영 기술을 사용했는데 이는 행복한 포만감과 불쾌한 과식을 구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약 10분밖에 걸리지 않는다는 것을 밝혀냈다. 하지만 비만자들의 경우 훨씬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류 교수는 "뇌 조직의 일부인 시상하부는 음식섭취를 통제하는 기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만 알려져왔으나 이번 연구는 시상하부가 결과적으로 역동적이고 생리학적인 변화를 겪는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인류 최초의 연구"라고 자평했다.

그는 "아울러 음식섭취를 통제하는 것과 관련한 중앙 통제장치를 규명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또 음식물을 섭취한 뒤 뇌의 변화와 혈중 포도당 및 인슐린 수치와의 상관관계를 밝혀냈다.

류 교슈는 이번 연구과정에서 자신과 텍사스 대학 보건과학센터 연구진들이 18명을 대상으로 뇌 활동의 변화를 지도화하기 위해 사용했던 새로운 방식의 뇌 촬영기술을 고안해냈다.

이 장치를 통해 18명의 자원봉사자들을 상대로 12시간 단식 뒤 48분간 뇌를 촬영했다. 당시 이들은 촬영이 시작된 지 10분 뒤 물과 설탕 용해액을 마셨으며 류 교슈는 인슐린과 포도당 수치를 측정하기 위해 이들의 혈액을 채취했다.

이 과정에서 과학자들은 뇌가 두차례에 걸쳐 최고조의 변화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아냈다. 첫 변화 신호는 음식섭취 직후 일어나며 벌컥벌컥 들이키거나 맛을 보고 냄새를 맡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두번째 변화는 체내에 음식물이 쫙 찼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로 첫 신호가 있은 지 10분뒤에 일어나 약 2분간 지속되며 혈액내의 당분과 인슐린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비만자들의 경우 두번째 변화는 다소 늦게 일어나거나 정도가 약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