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지역 살리는 엔도르핀, 마을기업 <상> 나뭇잎이 산골 마을을 바꿨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지난달 31일 일본 도쿠시마현 가미카쓰 마을에서 하리키 쓰네코 할머니(89·왼쪽)와 며느리인 하리키 시게미(64)가 태블릿 PC로 나뭇잎 시세와 주문 정보를 확인하고 있다. 주문을 보고 먼저 응하는 주민이 나뭇잎을 납품할 수 있어 태블릿PC를 자주 확인해야 한다. [가미카쓰=김원배 기자]


고령화와 도시화에 따른 농어촌 마을의 쇠퇴는 선진국도 피해 갈 수 없는 문제다. 일본과 영국에선 1980~90년대부터 주민들이 마을기업을 세워 지역 살리기에 나섰다. 고령화한 마을에 일자리가 생기고 소득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도 지난해부터 마을기업이 설립되기 시작했다. 일본과 영국 현지 취재를 통해 ‘지역을 살리는 엔도르핀, 마을기업’ 시리즈를 3회에 걸쳐 소개한다.

지난달 31일 일본 도쿠시마(德島)현 가미카쓰(上勝) 마을 농가 작업실에는 깨끗하게 손질된 단풍나무 잎이 하얀 박스에 쌓여 있었다. 올해 89세의 하리키 쓰네코(針木恒子) 할머니와 며느리인 하리키 시게미 (針木繁美·64)는 나뭇잎 손질을 잠시 멈추고 자그마한 태블릿 PC를 켰다.

 이 태블릿PC는 일본의 이동통신사인 NTT도코모가 지난 6월 이 마을에 지원한 삼성전자의 갤럭시탭이었다. 주민들은 갤럭시탭을 통해 일본 전역에서 들어오는 단풍나무 잎 주문과 시세 등을 확인한다. 주문을 가장 먼저 보고 신청을 하는 농가 한 곳만 단풍나무 잎 등 각종 나뭇잎을 납품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실적을 내려면 부지런히 태블릿PC를 확인해야 한다. 하리키 시게미는 “한 시간에 한 번씩만 주문에 응할 수 있게 돼 있다”며 “하루에 50박스(500팩)를 공급해 마을 전체에서 1등을 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일부 농가는 나뭇잎만으로 연간 1000만 엔(약 1억5000만원)이 넘는 소득을 올리고 있다.

 산골 마을에서 가장 흔한 나뭇잎을 가지고 사업을 하지만 이를 처리하는 시스템은 첨단을 달린다. 이런 정보를 제공하는 곳이 마을기업인 이로도리다. 사업 초기에는 팩스를 이용해 나뭇잎 주문 정보를 보냈다. 그 이후엔 가정에 PC를 보급했다. 이제는 밭에서 일을 하면서도 주문을 볼 수 있게 태블릿PC까지 도입했다.

 나뭇잎 사업을 하기 전 가미카쓰 마을은 미래가 보이지 않았다. 임업은 해외에서 수입된 목재로 경쟁력을 잃었고, 감귤 농사도 치열한 경쟁에서 밀렸다. 젊은이들이 불편하고 힘들고 수입도 없는 산골을 떠나자 마을에는 노인들만 남았다.

 그러다가 한 사람이 마을을 살리는 아이디어를 생각해 냈다. 주식회사 이로도리의 대표인 요코이시 도모지(橫石知二·53)다. 요코이시 대표는 대학을 졸업하고 1979년 가미카쓰 농협의 영농지도원이 됐다. 그는 86년 오사카(大阪)의 식당에서 한 손님이 “나뭇잎이 예쁘네. 집에 가져 가야지”라는 말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사업을 시작했다. 농협을 중심으로 나뭇잎 사업을 하던 주민들은 99년 정식으로 마을기업을 설립했다. 마을사무소와 함께 민관 합동 출자 방식으로 주식회사 이로도리를 설립하고 요코이시를 대표에 앉혔다. 하리키 쓰네코는 “나뭇잎은 가벼워 나이 든 사람도 쉽게 모을 수 있다”며 “나뭇잎 사업이 성공한 후 마을을 찾는 사람이 늘었고 마을에 활기가 돈다”고 말했다.

 현재 일본과 영국에선 마을기업이 농어촌 지역을 살리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영국에는 약 6만2000여 개, 일본도 6만여 개의 마을기업(사회적 기업 포함, 미쓰비시UFJ리서치&컨설팅 추산)이 설립돼 활동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해부터 정부 차원에서 마을기업 육성을 시작했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248억원의 예산을 편성해 539개의 마을기업을 지원했다.

 대전시 대덕구 장동 장동마을 50~60대 주민 16명이 1인당 10만원씩 출자해 설립한 장동영농조합법인도 이 중 하나다. 주민들은 근처에 계족산 관광지가 있다는 것에 착안해 지난 6월 게스트하우스 사업을 시작했다. 행안부에서 5000만원을 지원받아 구청 소유의 주민문화센터를 게스트하우스(방 3개)로 보수했다. 하룻밤 자는 데 1인당 5000원을 받고 마을에서 나는 농산물도 판매한다. 지금까지 2000만원의 수입을 올렸지만 각종 비용 지출을 감안하면 순이익은 거의 없다. 황태문(67) 장동영농조합법인 대표는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마을을 살리기 위해 기업을 만들었지만 아직은 초기 수준”이라며 “출자자 수를 늘리고 민박이나 홈스테이를 하는 방안도 구상 중”이라고 말했다.

김원배·전영선 기자

글 싣는 순서

<상> 나뭇잎이 산골 마을을 바꿨다

<중> 주민 주주가 자립을 일군다

<하> 일꾼 키우고 시스템 만들어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