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산자, 美에 자동차 통상압력 철회 등 요청

중앙일보

입력

김영호 산업자원부 장관은 8일 오후(미국 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바셰프스키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그래슬리 상원의원과 잇따라 만나 자동차 통상압력 철회, 한국산 강관 긴급수입제한조치 및 D램반덤핑 철회 등을 공식 요청했다.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기구(APEC) 에너지장관 회담 참석차 방미중인 김 장관은 "미국측이 몇 년 전의 한국상황을 바탕으로 통상문제에 대한 기대와 인식을 갖고 있다"면서 "한국 정부는 지난 2년간 개혁, 개방정책을 꾸준히 추진해왔으며 미국측이 이를 인정해달라"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특히 "외제차에 대한 대국민 인식을 바꾸고 수입을 늘리기 위해 장관용 의전차로 수입차를 구매할 계획이며 외제차 수입규제라는 불필요한 오해를 없애기 위해 최근 일부 정부 부처에서 제기한 `2천400㏄ 이상 승용차 등록자료 제출 의무화안'를 철회시켰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최근 미 정부가 한국의 지적재산권 보호평가 등급을 작년의 감시대상국(WL)에서 우선감시대상국(PWL)으로 조정한 것과 한국산 강관에 대해 긴급수입제한조치를 내린 것은 유감"이라며 미 정부측에 신중한 결정을 촉구했다.

이에 바셰프스키 대표는 "한국의 99년 자동차 수입량이 2천400대로 한국 업체들의 1일 수출량(3천800대)에도 미치지 못했다"며 "외국산 자동차 수입 확대를 위해 한국 정부가 직접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바셰프스키 대표는 이어 "포항제철의 민영화가 지연되고 있다"고 지적했으며 김장관은 "최근 한국내 주식시장 침체로 민영화 시기가 다소 늦어지고 있으나 정부 정책은 변함이 없다"고 답했다.
(워싱턴=연합뉴스) 인교준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