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공 들어간 지점~홀 연결선 뒤에서 드롭 … 지면에 클럽 닿으면 2벌타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235호 15면

지난 4일 충남 태안의 골든베이 골프장에서 열린 KLPGA 투어 한화금융클래식 최종라운드. 선두인 최나연(24·SK텔레콤) 선수를 2타 차로 추격하던 유소연(21·한화) 선수가 12번 홀(파3)에서 티샷한 볼이 해저드 구역 안으로 날아갔다. 다행히 공이 물에 빠지지 않아 유 선수는 세컨드샷을 할 수 있었다. 그런데 유소연이 샷을 하기 전에 손으로 풀을 걷어냈다. 이 장면을 본 최나연이 경기위원에게 “루스 임페디먼트(나뭇가지·풀·동물의 배설물 등)를 건드렸다”며 이의를 제기했다. 유소연은 2벌타를 받아 공동 5위로 떨어졌다. 골프 규칙 13조 4항(해저드 내에서 금지되는 행위)에는 해저드 내에서 루스 임페디먼트를 제거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돼 있다. 올해 US오픈에서 우승한 유소연은 경기에 몰입한 나머지 무의식적으로 루스 임페디먼트를 제거했다고 인정했다.

김아영의 골프 룰&매너 <3> 공이 해저드에 들어갔을 때

아마추어 골퍼들에게 해저드는 공포의 대상이다. 해저드가 앞에 버티고 있으면 의식하지 않으려 해도 자꾸만 몸에 힘이 들어가 미스샷을 하고, 해저드를 충분히 넘길 수 있다고 생각해 샷을 했는데 공이 물 속에 ‘풍덩’ 빠지기 일쑤다. 이럴 경우 1벌타가 부과되고 세 가지 옵션에 따라 새 공을 드롭해 플레이를 재개한다. 골프 규칙에는 이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있다.

첫째는 원래 쳤던 곳에서 다시 치는 것, 둘째는 공이 해저드 구역에 들어간 최후의 지점과 홀을 연결한 가상의 선을 긋고 그 선 뒤에 공을 드롭하는 것이다. 아마추어들은 공이 날아온 궤적과 같은 선상에 드롭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규정에 맞지 않다. 빨간 말뚝이 꽂혀 있는 레터럴 워터 해저드(공을 드롭하기 불가능한 위치의 워터 해저드)에서는 한 가지 옵션이 더 있다. 1벌타가 부과되고 홀과 가깝지 않은 곳에 2클럽 이내로 드롭하는 것이다.

공이 해저드에 빠졌는지 로스트 볼이 됐는지를 놓고 의견이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프로 투어에서는 경기위원이 판정하지만 아마추어끼리 경기에서는 제 3자인 캐디의 의견을 구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해저드 구역 내에서 해서는 안 될 것이 있다. 유소연 선수의 경우처럼 루스 임페디먼트를 제거하는 것, 그리고 클럽을 지면에 대는 행위다. 미셸 위 선수는 2010년 LPGA 기아클래식 최종라운드 11번 홀(파5)에서 세컨드샷이 그린 근처 해저드 가장자리에 빠졌다. 1벌타를 받고 구제를 받는 대신에 그는 반쯤 물에 잠긴 공을 직접 쳐내려 했다. 하지만 공은 해저드 구역 내 러프로 갔다. 이때 미셸 위는 무심코 해저드 지면에 클럽을 댔다. 네 번째 샷이 핀에 붙어 파를 했다고 생각했지만 2벌타를 추가해 더블보기가 됐다.

다시 한화금융클래식 최종라운드로 돌아가 보자. 최나연이 고교 2년 후배인 유소연의 룰 위반 행위를 꼭 경기위원에게 ‘클레임’했어야 됐을까. 결론적으로 말하면 최나연은 옳은 일을 한 것이다. 만약 최나연이 규칙 위반을 지적하지 않았다면 유소연은 12번홀 스코어를 착각해 스코어카드 오기로 실격당했을 것이다. 또한 이번 일이 없었다면 LPGA 투어 같은 더 큰 대회에서 똑같은 실수를 할 가능성도 있었다.

아마추어끼리 라운드에서도 동반자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반복적으로 룰 위반을 하고 있다면 지적해 주는 것이 옳다. 물론 현장에서 얘기해 줄지, 라운드가 끝난 뒤 편안히 복기하는 자리에서 얘기해 줄지는 각자가 판단할 몫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