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수술칼 회사, 단칼에 한국정부, 병원, 환자 제압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위암 수술에 쓰이는 칼을 공급하는 일본 기업이 보건복지부의 정책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 정부와 병원, 환자는 일본 기업의 눈치를 보는 상황이 됐다. 초기 위암 때 암세포를 내시경과 수술칼로 잘라내는 '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절제술(ESD)'에 쓰이는 시술용 칼을 공급하는 올림푸스 얘기다.

보건복지부는 이달부터 ESD의 보험 적용 기준을 '2㎝ 이하 위암'으로 한정하고 시술비를 약 50만원으로 책정했다. 그러자 그동안 250만원 정도를 받았던 병원들이 '칼 값도 안 나온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급기야 시술을 거부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되자 보건복지부는 의료업계와 재협상에 나서겠다며 한발 물러섰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엉뚱하게 시술에 반드시 필요한 수술용 칼을 파는 올림푸스가 칼자루를 쥐고 이득을 챙기는 상황이 연출됐다. 실제로 올림푸스는 보건복지부가 의료업계와 재협상에 나서자 "공급가격을 올려달라"며 칼 공급을 중단했다. 칼이 없으면 수술을 할 수 없으니 보건복지부나 병원도 올림푸스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ESD는 내시경과 칼을 이용해 암 부위를 절개해 도려내는 시술법이다. ESD 수술용 칼은 일회용이다. 국내에서 개당 약 40만원에 판매되고 있다. 한해 6000여 개 팔린다. 전체 시장의 60~70%정도를 올림푸스가 차지해 사실상 독과점적 위치에 있다.
당초 올림푸스는 관세청에 수입원가를 13만원으로 신고했다. 그러나 보건복지부는 9만4950원으로 가격을 확 낮춰 책정했다. 가격 책정을 담당하고 있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결정에 따른 것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수입원가가 13만원인데 판매가가 40만원이라면 말이 되는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림푸스가 판매하는 6 종류의 칼 가운데 두 번째로 잘 팔리는 칼의 원가가 5만원 정도다. 이를 기준으로 원가의 1.78배인 9만4950원으로 공급가를 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올림푸스는 공급가격이 지나치게 낮다며 반발했다. 급기야 올림푸스는 지난달 30일 병원에 '수술용 칼 공급 불가' 공문을 보내고 판매를 중단했다. 올림푸스 관계자는 "판매 금액은 마케팅과 R&D 비용 등이 포함된 금액인데, 원가 기준으로만 가격을 책정하는 것은 문제"라며 "일본과 대만에 비해 한국은 싼 편"이라고 말했다.

올림푸스에 따르면 한국에서는 40만원에 팔고 있지만 일본에선 이보다 5만~12만원 비싼 가격에 판다. 대만에서는 54만원을 받는다.

보건복지부는 올림푸스가 칼 공급을 중단하자 결국 무릎을 꿇었다. 당초 책정한 가격을 파기하고 24만원까지 올려줄 수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의료기기에 대해 통상 원가의 178%를 가산해주는 판매가 산정 원칙을 적용, 24만원까지는 올릴 여지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올림푸스가 이를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올림푸스 관계자는 "오늘 중으로 보건복지부에 가격 재조정안을 제출할 것"이라며 "기존 40만원보다는 내리는 쪽으로 결론이 날 것 같다"고 전했다. 또 "가격 폭리를 취하기 위해 이런 사태가 벌어진 것은 아니다"며 "오히려 공급업체로서 병원과 보건복지부 사이에 껴 있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병원 '리베이트' 의혹에 대해서는 "가격을 정하는 것은 보건복지부와의 일"이라며 "(환자의 건강이라는) 도의적인 책임을 외면할 수 없기 때문에 조속히 재조정하겠다"고 전했다.

올림푸스 또 다른 관계자는 "병원에 ESD 시술용 칼 재고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오히려 의사(병원)들이 올림푸스를 이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진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