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차 비대위,조기매듭 촉구 상경투쟁

중앙일보

입력

프랑스 르노사의 삼성자동차 인수협상이 인수가격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는가운데 삼성자동차 부품협력업체.부산지역 시민단체 등이협상 조기매듭을 촉구하는 상경투쟁을 전개키로 해 협상의 새로운 변수가 될 전망이다.

삼성자동차 부품협력업체 생존대책위원회(위원장 김광홍.김광홍)는 "오는 17일오후4시 부산시청에서 부산시 전진 부시장 주재로 `부산 자동차산업 살리기 비상대책위 실무위원회'를 개최, 삼성자동차 인수협상 조기 매듭을 위한 향후 대응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16일 밝혔다.

비상대책위는 17일까지로 예정된 르노사와 삼성차 채권단과의 협상결과를 지켜본 뒤 진척이 없을 경우 실무위원회에서 ▶서울에 비상대책위 사무소 개설 ▶인수협상 조기매듭의 당위성 홍보를 위한 기자회견 및 대규모 집회 개최 ▶관련부처 호소및 일간지 광고게재 등 대응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생존대책위 김광홍 위원장은 "채권단이 채권확보차원에서 임해 협상이 결렬될경우 현실적으로 공장을 계속 가동시킬 수 있는 다른 대안이 없어 협력업체의 연쇄도산과 부산경제의 파탄, 국가경제의 위기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국부유출이라는 비난을 들어가면서 협상 조기매듭을 요구하는 이유를 전국에 호소하기 위해 상경홍보전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채권단이 제시하는 채권액 8천700억원중 원금은 5천200억원이며이자가 2천500억원 정도이고 이자도 국제통화기금(IMF) 사태의 고금리"라면서 "기아자동차나 한보철강의 경우 등 부실기업으로 법정관리상태인 기업의 채권단이 이자까지 받은 경우는 없는 것으로 안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또 "르노사가 약속대로 3-4년후 연간 50만대를 생산하려면 매년 3억-4억달러씩 12억달러 이상을 투자하겠다는 것인데 이는 외자유치 차원에서 보아야하는 것"이라며 "삼성차를 헐값에 팔아 국부를 유출한다는 비판은 근시안적인 논리"라고 말했다.

(부산=연합뉴스) 류일형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