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30평형대 중형 임대 아파트 수요자 급증

중앙일보

입력

30평형대 중형 임대 아파트가 수요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전셋값이 너무 오르자 임대료가 싸고 임대조건이 좋은 임대 아파트를 공급받으려는 사람이 부쩍 늘어난 때문이다.

이에 따라 경기도 광주 등 수도권 일대 임대 아파트는 없어서 못 팔 정도로 인기가 높다. 임대 아파트 건설물량도 크게 늘고 있다.

올해 중 수도권에서 선보일 중형 임대 아파트는 6천여가구로 추산되고 있다.

이같은 임대 아파트 건설붐은 지난해 7월 정부가 임대주택 규모를 전용면적 25.7평까지 확대한 데다 전셋값 급등에 따라 세입자들의 관심이 높아진 게 그 요인.

실제 지난 1일 입주자 추첨을 끝낸 광주 오포 우림 임대아파트 33평형(4백98가구)에는 1천8백여명이 몰려 3.6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미분양이 속출하는 일대 일반 분양 아파트와 비교하면 인기도를 가늠할 수 있다.

해당 지역 전셋값보다 싸고 2.5~5년 후 분양 전환 때 우선 청약권이 있을 뿐 아니라 분양가도 낮다는 점이 작용됐다. 가장 큰 장점은 연리 5.5%의 국민주택 건설자금이 지원되므로 소비자의 자금부담이 적다는 것.

30평형대는 최고 5천만원이 지원되며 거주 후 10년 분할상환 조건이다. 임대료 인상률이 연간 5%로 제한돼 전셋값 폭등에 시달려온 세입자들은 중형 임대아파트 공급계획을 잘 챙겨볼 만하다.

신청자격은 청약저축.예금.부금 가입자 모두 가능한데 반드시 무주택자여야 한다.

보즘금과 월 임대료는 지역에 따라 다른데 양주군 일대는 보증금 3천만원 선에 월 9만원 정도며 광주.평택 등은 보증금이 5천만원 선이다.

최근 분양된 광주 오포 우림아파트의 경우 보증금 5천5백만원에 월 10만원. 입주 2년6개월 후 분양받을 때 들어가는 추가 부담금과 그 동안의 금융비용 등을 합쳐도 1억3천여만원에 내집마련이 가능하다.

같은 조건의 일반 분양 아파트라면 총 투입비용(분양가 1억4천만원 기준)이 1억6천여만원(연리 9.5% 적용)정도 들어간다.

단점은 관리가 부실해 슬럼화 우려가 크다는 것. 그러나 요즘 분양되는일부 중형임대아파트 단지는 각종 편의시설을 갖추고 임대기간 중 분양회사 측에서 관리를 맡아 이런 우려가 많이 없어졌다.

우남종합건설이 남수원 병점에서 내놓은 33평형 5백85가구는 내부시설과 자재를 입주자가 정하는 옵션방식을 채택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