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돌 김관용 경북도지사 “원자력 클러스터로 미래동력 준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김관용 지사

“경북의 성장 동력을 원자력 클러스터로 구체화시켜 나가겠습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7일 취임 1주년 인터뷰에서 “원자력 클러스터는 안전성 강화와 일자리를 위해 꼭 필요하다”며 배경 설명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반대하는 일부 시민단체와는 언제든 마음을 터 놓고 토론할 뜻이 있다고 덧붙였다.

 인터뷰는 때 맞춰 발표된 행복지수 이야기로 시작됐다. 김 지사는 현대경제연구원이 조사한 ‘2011년 상반기 대한민국 경제적 행복지수’ 자료를 짚어 가며 경북도가 전국 16개 시·도 중 1위에 올랐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11위에서 무려 10계단이나 뛰어올라 눈길을 끌었다. 경북도는 제조업의 경기회복과 일자리 증가, 사회 양극화 해소 등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1주년 성과로 먼저 꼽고 싶은 것은.

 “ 투자 유치 7조원 달성이다. 세계 경제위기 여파와 수도권 규제완화 등 이중고 속에서 이뤄냈다. 지난달 28일엔 도레이, 포스코 파이넥스 2개 업체가 하루에만 2조6000억원 투자를 약속했다. 임기 동안 20조원 목표 달성은 무난할 것이다.”

 -과학벨트 유치가 실패로 끝났다.

 “일부 좌절이 있었다. 과거 향수 속에 안주해 위기감이 없었고 … 반성하는 계기가 됐다. 정부는 균형발전의 헌법적 가치를 외면했다.”

 -앞으로 역점을 둘 사업은.

 “ 원자력은 국내 전체 에너지의 34%를 차지한다. 풍력·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는 아직은 비용이 너무 들어간다. 원자력이 위험하지만 별다른 대안이 없는 게 현실이다. 원전의 50%(10기)는 경북에 있다. 안전성 확보 때문에 원전이 집중된 동해안에 제2원자력연구원 등 R&D(연구개발) 기능과 안전 관련기관이 와야 한다. 그런 걸 한 곳에 다 모으자는 게 클러스터다.”

 -정부도 선뜻 나서지 않는 분위기다.

 “안전성 확보는 시급하다. 원전 현장에 과학자들이 같이 있어야 안전성을 신뢰하게 된다. 정부는 시기를 놓치면 안된다. 우리는 원전 수출국이다. 80기 수출 계획이 있고 그 중심에 경북이 있다. 수출에 필요한 플랜트 건설과 사후관리 등 전문인력 양성도 동해안에서 하자는 것이다. 좋은 일자리다. 60년 먹을 게 나올 수 있다.”

 -하지만 시민단체는 원자력 클러스터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알고 있다. 반대 시민단체도 만나 이해를 구하겠다.”

 -도청 이전, 보상 등이 난관인데.

 “시간이 걸리겠지만 법이 정한 범위 안에서 방법을 강구하겠다. 2014년은 경상도 개도 700주년이 되는 해다. 2014년 6월 청사 이전 일정이 지켜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대구·경북 통합 논의는 어떻게 보나.

 “시기가 적절치 않다. 형제가 분가했는데… 다시 합하라는 식이다. 분가한 상태에서 잘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협치를 통해 경제부터 풀겠다.”

송의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