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들 리츠 투자 열기 후끈…36억 공모에 1800억 몰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1면

요즘 리츠(부동산투자회사) 상품에 개인투자자들의 자금이 몰리고 있다. 이달 3~4일 일반 개인투자자들을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한 광희 리츠는 36억원 모집에 1800억여원이 몰려 51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앞선 2월 일반 공모주 청약을 진행한 이코리아 리츠는 2.7대 1의 경쟁률로 청약을 마감했고, 3월 주식시장에 상장된 뒤에는 7거래일 연속 상한가 행진을 했다. 리츠가 이처럼 일반인들의 인기 투자상품으로 떠오른 건 최근의 일이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토해양부 부동산산업과 백기철 과장은 “사업자로서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통한 부동산 사업자금 조달이 여의치 않아졌고, 개인투자자 입장에서는 예전처럼 직접 부동산을 사들여 수익을 올리기가 어려워지자 리츠가 대안으로 떠올랐다”고 해석했다. 사업자에게는 자금조달 창구로, 개인투자자에게는 불확실한 부동산시장에서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간접투자상품으로서 리츠가 부각되는 것이란 얘기다.

 일반인이 리츠에 투자하는 방법은 두 가지다. 공모주 청약에 참여하는 것과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을 사는 것이다. 리츠는 부동산투자회사법상 수익의 90%를 투자자들에게 현금으로 배당한다. 이 때문에 주식과 달리 시세차익보다는 배당수익률이 중요하다.

 어떤 상품에 투자할 것인지도 꼼꼼히 따져야 한다. 개인이 투자할 수 있는 리츠 상품은 자산관리전문회사(AMC)가 위탁받아 운용하는 위탁관리리츠와 5인 이상의 전문인력이 직접 운용하는 자기관리리츠로 나뉜다. 또 각각의 리츠 중에서 개발사업 투자 비중에 따라 개발사업에 총자산의 100%를 투자할 수 있는 개발전문과 투자 범위가 30% 이내로 제한되는 일반 리츠로 다시 나뉜다.

 베이스개발리츠 박검섭 대표는 "자기관리리츠의 경우 인건비와 사무실 유지비 등의 고정비가 나가므로 리츠 규모가 커야 안정적인 배당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코람코자산신탁 리츠재무팀 이태경 차장은 "개발전문리츠는 고위험·고수익 상품이므로 투자 대상이 무엇인지와 어떤 전문가 그룹이 운용하는지를 잘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리츠 시장은 이제 태동 단계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공모해 상장된 리츠가 코크렙8호·케이알2호·다산·골든나래·코크렙15호·이코리아 등 6개에 불과할 정도로 출시된 상품이 많지 않다. 특히 개인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 자기관리리츠는 지난해 상장된 골든나래가 처음이다. 하지만 올 하반기부터는 리츠 상품이 잇따라 나올 전망이다. 국토부로부터 영업인가를 받고 출시를 준비 중인 자기관리리츠가 18개나 된다. 오피스텔이나 도시형 생활주택에 투자하겠다는 리츠가 대부분이다.

함종선 기자

◆리츠(REITs)=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전문가그룹이 부동산에 투자·운용하고 그 수익(부동산임대소득, 개발이득, 매매차익 등)을 배당하는 부동산 간접투자 상품.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