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속 광통신망으로100배 빠른 인터넷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손쉽고 값싸게 정보를 얻고 이용할 수 있는 시대를 만드는 게 국가정보화 프로젝트인 ''사이버코리아 21'' 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전국의 정보통신망을 초고속 고성능으로 바꾸고
국내 인터넷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효율적으로 구축하며
1인 1PC 등 전국민 정보화를 추진하고 있다.

또 인터넷 시대에 맞게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정보 교류에 나타날 데이터 신뢰성 인증 및 불건전 정보유통 억제 등을 준비 중이다.

정부가 특히 중점을 두는 게 정보통신망의 고성능화다.
올해 말까지 전국 9개 주요 도시에 초고속 교환기(ATM)가 설치되고, 전국 1백7개 권역에 광통신망이 깔린다.
그러면 인터넷 속도가 현재보다 1백 배 이상 빨라진다.

초고속 교환기와 광통신망은 단계적으로 확대, 오는 2004년에는 지금보다 1천배 이상 빠른 인터넷이 서비스된다.

인터넷과 연결된 PC로 국민이 안방에서 실시간으로 전자쇼핑을 즐기고, 가정에서 주문형 비디오(VOD)로 원하는 영화를 관람하거나 TV화면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전국민 정보화도 정부가 신경을 쓰는 과제다.
모든 국민이 컴퓨터를 배우고, 인터넷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만들어 정보화 사회에서 소외되는 계층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다.

우선 올해는 지난해부터 시작된 90만 공무원과 60만 군인, 1천만 학생을 대상으로 한 컴퓨터 교육에 더욱 힘쓸 것이다.

또 2002년까지 1만4백여 초.중.고교에 2대 이상씩의 컴퓨터가 보급된다.
학교별로 정보화 선도교사도 선정돼 일반 교사에 대한 컴퓨터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1인 1PC 시대를 열기 위해 정부는 1백만원 이하의 ''인터넷PC'' (일명 국민PC)도 보급 중이다.

소외계층이 될 수 있는 저소득층 자녀에게는 중앙일보와 공동으로 전국의 학원에서 무료 컴퓨터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안병엽(安炳燁)차관은 "2002년까지 진행되는 사이버코리아21에 모두 28조원이 들어가지만 1백18조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1백만명의 새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 며 "특히 첨단 기술개발이 마무리되는 2004년에는 우리 나라가 세계 5위의 정보통신 강국이 될 수 있다" 고 설명했다.

또 국내 기업의 75%가 인터넷에서 상거래를 할 수 있어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도 지난해의 5백50억원에서 2002년에는 3조8천억원으로 커지며, 인구 1백명당 PC 보급도 현재의 14대에서 선진국 수준인 32대로 늘어난다는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