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유통, 중국 전인대 수혜주로 부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2면

지난해 한국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5.1%다. 미국(10.7%)의 두 배, 일본(6%)의 네 배를 넘는다. 2001년 12.1%였던 중국 비중은 10년 만에 두 배를 넘어설 정도로 중국에 대한 무역의존도가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홍콩 등 제3국을 경유한 수출 실적까지 포함하면 실제 중국 비중은 30%를 넘어설 것이란 게 관세청의 분석이다. 중국 경제가 기침을 하면 한국 경제가 독감에 걸리는 상황에 온 것이다.

 이렇게 한국 경제에 절대적 영향을 주고 있는 중국의 경제정책에 변화가 생겼다. 중국은 5일 개막된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향후 5년간 연평균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7%로 낮춰 잡았다. 경제 성장모델도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대신 세계 경제의 ‘성장엔진’ 역할을 해 온 중국이 갑자기 브레이크를 밟으면 한국 경제와 증시는 어떻게 될까. 증시 전문가는 중국의 성장목표 변경은 장기적 과제이기 때문에 경제정책이 갑자기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도 위안화와 원화 가치가 높아지고 한국의 중국 수출품목이 소비재 중심으로 바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정부가 양적 성장보다는 질적 성장에 무게를 둘 것을 선언했지만 이런 바오바(保八·8% 성장률 유지) 정책 포기가 새로운 정책 이슈는 아니다”며 “중국은 이미 지난해부터 질적 성장을 위한 내수 확대에 시동을 걸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성장률 목표치를 낮춘 것은 그간의 경제 규모 팽창에 따라 자연적으로 경제 성장이 둔화하는 현실적인 측면을 반영한 부분도 있다”며 “다만 중국 내 재스민혁명 차단과 물가 안정을 위해 2분기 중반까지는 긴축기조를 강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재만 동양종합금융증권 애널리스트는 “그동안 중국이 성장률 목표치 8%를 제시했지만 실제 성장률은 항상 목표치를 상회했다”며 “성장률 목표치 하향 조정에 겁먹을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중국의 내수 강화는 소비재 수입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한국의 중국 수출품은 자본재(61%)와 원자재(33.4%)가 대부분이다. 소비재 비중은 5.6%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승용차의 중국 수출 비중은 5%, 에어컨은 1%다.

 오승훈 대신증권 연구원은 “올해 중국의 투자증가율 목표치는 하향되고(20%→18%) 소비증가율 목표치는 상향되면서(15%→16%) 소비 확대라는 방향성을 명확히 했다”며 “중국 관련주 가운데 투자 관련 업종보다는 화장품·의류·유통 등 소비 관련 업종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중국이 물가 안정을 경제 정책의 우선순위로 삼으면서 위안화 가치도 덩달아 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 분위기다. 특히 미국 등 서방 국가가 환율 조작국으로 몰아가며 위안화 절상을 압박하는 것도 중국엔 부담이었다.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위안화는 달러 대비 연간 5~6% 정도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며 “중국은 수출을 그다지 훼손하지 않으면서 내수 소비와 성장을 지원해야 하는데 이 이상의 환율 절상 폭은 중국에도 부담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원화 환율도 위안화 움직임을 따라가기 때문에 원화가치 강세가 예상된다”며 “그러나 위안화 절상은 시장에 어느 정도 반영된 이슈이기 때문에 원화가 가파르게 상승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창규·손해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