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홍기 사장, 둘째 금요일엔 종을 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다국적 제약사 한국애보트 유홍기 사장(맨 오른쪽)이 패밀리데이에 종을 들고 오후 4시30분에 조기 퇴근하는 직원들을 배웅하고 있다.

한국애보트 유홍기 사장은 매월 둘째 금요일이면 어린아이 주먹만 한 종을 꺼내놓는다. 오후 4시30분이 되면 서울 삼성동 사무실을 순회하며 종을 친다. “어서 마무리하고 퇴근하세요.”

 지난달 11일에도 유 사장은 어김없이 종을 쳐대며 회사 직원들의 퇴근을 종용했다.

한국애보트가 가족친화경영의 일환으로 2007년부터 마련한 패밀리데이다. 다른 회사 직원들이 퇴근하는 시간보다 한두 시간 일찍 퇴근하면 교통체증에서 벗어나 가족과 지내는 시간을 늘릴 수 있다는 취지에서 도입했다. 원래 다른 회사보다 한 시간 빠른 오후 5시 퇴근이었다가 지난해 4월부터 30분을 앞당겼다.

 “패밀리데이는 저보다 가족들이 더 기다립니다. 가족여행은 늘 패밀리데이에 출발하죠.” 이 회사 의약품사업부 이세희 차장은 패밀리데이 애찬론자다. “길이 막히는 금요일에는 한 시간만 빨리 출발해도 길거리에 버리는 시간을 많이 줄일 수 있으니까요.”

 다국적 제약사인 애보트는 본사가 있는 미국에서도 가족친화경영을 중시하면서 매년 다양한 기관·매체로부터 ‘여성들이 일하기 좋은 기업’으로 선정된다.

 유 사장이 종을 치는 것은 상사 눈치 보지 말라는 이유에서 생각해낸 퍼포먼스다.

유 사장은 “패밀리데이를 안착시키기 위해선 무엇보다 직원들이 눈치 보지 않고 일찍 퇴근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게 필요했다”면서 “CEO가 직접 챙기는 모습을 보여주니까 직원 만족도도 빠르게 상승했다”고 말했다.

 실제 취업포털 커리어가 지난해 말 직장인 659명을 대상으로 연차 사용 현황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많은 직장인이 여전히 자신의 연차 휴가조차 온전히 사용하지 못했다. 조사 대상자 10명 가운데 4명이 연차 휴가를 다 쓰지 못하는 이유로 ‘주위에 다 쓰는 사람이 아무도 없어서’ ‘인사고과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까봐’ 등 회사 분위기를 들었다. 유 사장은 “아무리 좋은 가족친화경영 제도라도 원래 취지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회사 전체 분위기를 자유롭게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심재우 기자

사진

이름

소속기관

생년

[現] 한국애보트 대표이사사장

1957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