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표류 북 주민 22명 다음날 북송 … 2011년 31명 열흘 넘게 서울 관광까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2008년 2월 8일 연평도 부근 해상. 북한 주민 22명(여성 14명, 남성 8명) 소형 고무보트 2척 타고 북방한계선(NLL) 넘어 남쪽으로 표류.

 #2011년 2월 5일 연평도 부근 해상. 북한 주민 31명(여성 20명, 남성 11명) 목선 타고 NLL 넘어 남쪽으로 표류.

 3년을 사이로 설날 연휴 기간에 일어난 닮은꼴 북한 주민 표류 사건이다. 모두 굴 및 조개 채취에 나선 어민들이다. 하지만 이들을 처리하는 방식엔 극명한 차이가 있다. 2008년 당시 정부는 북한이 뭐라 할 사이도 없이 하루 만에 북한 주민들을 돌려보냈다. 이런 사실이 뒤늦게 알려진 뒤 ‘귀순하려는 주민들을 돌려보냈다’는 비판까지 들었다.

 이번엔 다르다. 표류 나흘 만인 지난 8일 북한은 조선적십자회 명의로 전통문을 보내 주민 31명과 선박의 송환을 요구했다. 통일부는 “본인들의 자유의사에 따라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북측에 통보했다.

하지만 17일 현재까지 “관계기관이 조사 중이며 조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북한으로 송환할 것”이라는 언급만 내놓고 있다. 주민 31명은 처음부터 귀순 의사가 없다고 했다. 대공 용의점도 발견되지 않았다. 정부가 북한의 송환 재촉을 받고도 보름이 되도록 북한 주민을 수용하고 있는 데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

정부 관계자는 “조사도 조사지만 이왕 남한에 왔으니 좋은 인상을 갖고 가면 좋은 것 아니냐”며 “그동안 우리 정부가 북한 주민을 곧바로 돌려준 것과 달리 북한은 우리 어민이 북방한계선을 넘어가면 나포해 두어 달씩 잡아두고 우리 정부와 가족들의 애를 끓였다”고 말했다. 정부 소식통은 “북한 주민들은 잘 지내고 있으며 서울 구경도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북한 당국이 민감해하는 부분이다. 북한과의 마찰 방지 쪽에 초점이 맞춰졌던 북한 표류 주민 대책도 180도 바뀌어가는 분위기다.

김수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