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계획서(可行性硏究報告)는 이런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사업허가를 받기 위하여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이에 대한 허
가를 받는 것은 중외 합영기업의 두번째 절차로서 투자(프로젝
트)건의서에 대한 심사를 마친 즉시 사업계획서 작성에 들어가
게 된다.

1) 사업계획서 작성

사업계획서는 투자하고자 하는 사업과 기술의 선진성, 경제적
합리성, 그리고 공장건설가능성 등에 대한 과학적 에측을 허가
기관에 제시하는 것으로서 이는 투자결정을 승인 받기 위하여
제출하는 구체적 사업전망 및 건의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 일은 합작 쌍방이 공동으로 자체적으로 추진하거나 설계,
컨설팅회사 등에 의뢰하여 진행할 수도 있다.

사업게획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는 경제, 법률, 재무, 기술공
정등 각종 부문의 전문가들에게 자문을 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사업계획서의 주요 내용

가. 개요: 사업추진 동기, 투자양측의 기본 상황, 사업계획의
총괄적인 개요 및 분석

나. 판매계획: 제품의 국내외 수요규모와 그 구성, 합영기간
내의 시장예측상태, 수출 및 내수 계획, 가격결
정방침, 판촉계획, 아프터 서비스계획등

다. 생산계획: 제품명칭, 품질 및 규격, 년간생산능력 및 생산
량 등

라. 기술계획: 기술상태, 설비계획, 생산공정, 기존 기술 및
선진기술 도입상황, 설비명세서와 국내외에서
의 구매계획, 공정자료, 생산공정표 등

마. 경영기구 및 직원: 이사회조직, 경영관리기구, 직원수 및
조직도

바. 공장입지 선정 및 건설공사 계획, 공정자료, 생산공정표등

사. 원자재 및 에너지 수급계획: 원- 부자재, 표준규격품, 부
품등의 수급계획

아. 환경보호: [3폐(대기오염, 폐수, 폐기물)]의 배출 및 처리
조치 등 환경보호

자. 자금조달계획: 총 투자액, 등록자본금, 쌍방의 투자내용

차. 기술 및 경영분석: 기술의 선진성과 가치, 기술양도, 원가
분석, 경영효율 분석, 외화수급 계획

카. 사회적 효용성 분석: 시장수요의 균형, 동일업종의 기술
개선 촉진, 취업기회 확대 등의 사회적 효과

타. 사업리스크 분석: 경영의 제반 위험 요소와 예방조치

파. 결론: 예상이익, 투자회수 및 외화조절 계획 등

*본 기사는 한중경제교류중심 제공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