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락 아파트 재건축 사업 부작용 심각할 듯

중앙일보

입력

6천6백여가구 규모의 서울 가락동 시영 아파트재건축 사업이 사업 추진위와 주민, 관련업체간 갈등과 대립 양상이 깊어져 시행 초기부터 심각한 부작용과 후유증을 낳을 전망이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재건축 사업 추진위는 이날 오후 잠실 학생체육관에서 주민 전체 총회를 열고 재건축 조합장 선출 및 조합 규약 승인, 시공사 선정 등 시행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시영 아파트 어머니회 등 주민 수습 대책 위원회는 ▶ 사업 추진위 결성경위 ▶ 건설사업 관리업체인 `호승 CMC' 선정 배경 ▶ 시공사 후보인 현대와 삼성의 금품 로비설 등의 의혹을 제기, 총회 연기를 주장하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단일 단지 재건축 물량으로는 가장 큰 규모로 꼽히는 가락 시영 아파트 재건축사업은 그동안 동대표가 모인 대의원 회의를 통해 사업 추진위가 결성됐으며 사업추진위는 국내 처음으로 건설사업 관리업체로 호승 CMC를 선정, 사업을 추진해 왔다.

사업 추진위는 "통상적인 절차에 따라 추진위가 구성되고 사업을 원활히 진행하기 위해 건설관리 업체로 호승 CMC를 참여시킨 것"이라며 "총회를 통해 법적 기구인조합이 정식 결성되고 시공사를 선정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일부 주민들의 반대로 사업을 지연시킬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주민 대책 위원회는 이날 모임을 갖고 "주민 전체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추진위가 결성되고 조합장도 경선이 아닌 사실상 주민들의 추인만 받고자 하고 있다"며 "건설사업 관리업체를 참여시킨 건 전례가 없는데다 호승 CMC에 지불해야 할 비용만해도 400억원 규모인 것으로 아는데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일"이라고 반박했다.

이에 따라 이날 오후 3시 개최되는 총회를 통해 조합장 선출 및 시공사 선정이 이뤄진다 해도 당분간 원활한 사업 추진은 어려울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한편 재건축 사업 시공자 선정에는 현대건설.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과 삼성물산이 뛰어들어 재경 직원들을 총동원한 치열한 로비전이 펼쳐지고 있으며 최근 양사가 가가호호를 방문, 금품 공세를 펴는 등 혼탁 양상이 빚어졌다. [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