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뉴스 클립] 뉴스 인 뉴스 [161] 금리의 종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8면

뉴스에는 여러 종류의 금리가 등장합니다. 예를 들어 금융위원회는 지난달 대부업체의 ‘대출금리’ 상한선을 연 44%에서 연 39%로 내리겠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달 9일 ‘기준금리’를 연 2.5%로 동결했습니다. 또 지난해 4분기에는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가 오르면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함께 올랐습니다. 이들 모두 ‘금리’라는 이름을 쓰고 있습니다만, 적용되는 대상과 기능은 제각각입니다. 피부에 와 닿는 예금금리부터 다소 멀게 느껴지지만 나라 경제를 움직이는 기준금리까지 다양한 금리의 세계를 소개합니다.

권희진 기자

시장에서 물건을 사고팔 때 가격이 있듯이 돈도 값이 있다. 돈을 빌리면서 내야 되는 이자가 바로 돈값이다. 이자는 돈을 빌리는 기간이나 빌리는 사람·기관의 신용도 등에 따라 많아지기도 적어지기도 한다. 또 빌리는 금액에 따라 이자의 크기가 달라진다. 이처럼 일정한 금액의 원금에 대해 빌려주는 조건에 따라 갚아야 하는 이자를 일정비율로 나타낸 수치가 이자율, 바로 금리다.

 금리는 일정 금액에 대한 비율인 만큼 ‘%’로 표현된다. 단 같은 비율이라도 기간에 따라 이자가 크게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100만원에 대해 연간 36.5%의 금리가 적용된다면 이자는 매일 1000원 꼴이다. 그러나 일 36.5%라면 하루에 36만5000원을 내야 한다. 이런 차이 때문에 금리를 표현할 때는 기간을 함께 표시한다. 보통 ‘연 ○%’가 많이 사용된다. 연간 원금의 몇%를 이자로 내야 한다는 뜻이다.

 금리는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에 따라 단리와 복리로 나뉜다. 단리는 원금에 대해 약정된 금리를 곱해서 낸다. 반면 복리는 일정 기간 붙은 이자를 원금에 합쳐 여기에 다시 이자가 붙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단리 연 10%로 100만원(예금)을 2년 동안 맡긴다고 하면 2년간 이자는 20만원이다. 복리로 이자를 받으면 첫 1년간 이자가 붙은 원금 110만원에 다시 연 10%의 이자가 붙는다. 2년간 이자는 21만원이 된다. 복리는 이자에 이자가 붙으므로 단리보다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다.

 복리의 효과를 쉽게 계산하는 방법으로 ‘72법칙’이라는 게 있다. 이는 원금을 얼마의 금리로 얼마간 투자를 해야 두 배로 만들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척도다. 만약 6년 만에 원금을 두 배로 만들고 싶다면 72에서 6을 나눈 12(%)가 바로 금리가 된다. 즉 연 12%로 6년간 예금하면 원금만큼 이자를 받게 된다는 것이다. 3년 안에 돈을 두 배로 불리려면 연 24%(72를 3으로 나눈 값)의 금리를 받아야 한다.

 금리계산에만 빠져 있다 보면 주변 상황이 변하는 것을 간과해 돈 값이 떨어지는 것을 깨닫지 못할 수 있다. 물가란 복병이 있기 때문이다. 가령 100만원을 빌려주고 연 5%의 이자를 받기로 했는데 물가가 1년간 10%나 오른다고 해보자. 지금 살 수 있는 100만원짜리 노트북 컴퓨터가 1년 후 110만원이 되는 상황이다. 빌려준 돈은 1년 후 이자를 합쳐 105만원밖에 안 된다. 컴퓨터 1대를 살 수 있었는데 1년 후엔 5만원이 모자라게 되는 것이다. 5만원의 이자를 받아서 이득인 줄 알지만 실제로는 돈을 빌려줘 손해를 보는 셈이다. 금리는 이처럼 물가를 고려하지 않고는 그것의 실제 크기를 가늠하기 어렵다. 따라서 실생활에서 중요한 것은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금리다. 그게 실질금리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질금리는 돈의 가치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명목금리에 물가, 다시 말해 기대 인플레이션율을 빼고 남은 금리다. 예를 들어 2009년에 정기예금 명목금리는 연 3.23%였지만 기대 인플레이션율 추정치는 연 2.8%였다. 이에 따라 계산하면 2009년 정기예금 실질금리는 연 0.43%(3.23%-2.8%)가 된다. 100만원을 예금하면 물가를 고려했을 때 실제로 불어나는 돈은 4300원인 셈이다.

 금리는 재테크에서도 중요하지만 국가 경제에서는 돈의 흐름을 좌우하는 결정적 요인이다. 당연히 뉴스에도 자주 등장한다. 이제부터는 경제 주체마다 실제로 사용하고 있고 뉴스에도 자주 나오는 다양한 금리에 대해 알아본다.

 ● 국가경제 움직이는 기준금리

경기침체 막으려 내리고, 물가 잡으려 올리고

기준금리는 말 그대로 한 나라의 기준이 되는 금리다. 매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인상·동결·인하 등을 결정한다. 지난해 12월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2.5%로 동결했다.

 기준금리는 정확한 표현으로는 7일물 환매조건부채권(RP) 금리다. RP는 정해진 금리대로 이자를 지급하고 되사는 조건에 발행되는 채권이다. 보통 국공채 등을 담보로 한다. 한국은행은 RP를 은행 등에 팔거나 다시 사들이면서 돈을 꿔오거나 꿔준다. 따라서 RP금리, 곧 기준금리가 높으면 시중에서 돈이 회수된다. 은행들은 RP를 사면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으므로 가지고 있는 돈을 한국은행에 맡기는 것이다. 반대로 금리가 낮으면 시중에 돈이 풀려 나간다.

 기준금리가 중요한 이유는 금융당국이 이를 통해 거시경제를 관리하기 때문이다.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려 경기가 과열되면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올려 돈을 회수한다. 반면 경기가 침체돼 돈이 잘 돌지 않으면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내려 시중에 돈을 푼다. 2008년 9월 미국 리먼브러더스 파산으로 촉발된 글로벌 경제위기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자 한국은행은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 2008년 10월부터 2개월 동안 5%의 기준금리를 3%까지 내렸다. 2009년 2월엔 2%까지 내려 시장에 더 많은 돈을 풀었다.

 그런데 돈이 많이 풀리면 돈값이 떨어져 물가가 오르는 부작용이 나타난다. 물가가 오르는 걸 막으려면 다시 돈을 회수해야 한다. 한국은행이 얼마 전부터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한 것은 바로 돈을 회수해 물가를 잡기 위해서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7월과 11월 기준금리를 각각 0.25%포인트씩 올렸다. 7일 현재 기준금리는 2.5%다.

 ● 자금시장 상황 알려주는 콜금리·CD금리

은행도 돈 부족하면 기업·개인에 이자 주고 빌려

한국은행과 금융기관 사이의 자금거래에 기준금리가 사용된다면, 시중은행들 사이의 거래에는 콜금리가 사용된다. 은행도 일시적으로 돈이 부족하면 여유가 있는 다른 은행에서 하루나 이틀간 초단기로 돈을 빌린다. 이때 적용되는 금리가 바로 콜금리다. 돈을 빌려주는 것을 콜 론(call loan)이라고 한다. 빌리는 것은 콜 머니(call money)다. 콜 시장은 콜이 거래되는 시장이다.

 콜금리는 금융기관들 사이에 이뤄지는 자금거래 척도인 만큼 일반 기업이나 가계와는 연관성이 적다. 그러나 시중자금 수급에 따라 금리의 높낮이가 결정된다는 측면에서 금융기관의 자금 사정을 반영한다. 자금시장을 들여다보는 중요한 지표인 셈이다.

 한국은행의 정책금리가 RP금리로 바뀐 2008년 3월 이전에는 콜금리가 통화조절의 주요 수단으로 사용됐다. 비록 금융기관 간의 돈 거래라고 하더라도 콜금리의 높낮이는 은행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콜금리에 따라 가계나 기업의 예금·대출 금리가 함께 움직인다.

 CD금리는 양도성예금증서(CD)를 거래할 때 척도가 되는 금리다. CD란 은행이 개인이나 기업 등 경제주체에게 돈을 빌리면서 발행하는 차용증이다. 만기에 제한은 없으나 91일물이 주로 거래된다. 은행도 돈이 부족하면 금리를 높게 주고서라도 돈을 빌려야 한다. 반면 시장에 돈이 넘쳐나면 굳이 높은 이자를 내면서 돈을 빌릴 필요가 없다. CD금리의 추이는 시중에 풀린 자금의 상황을 들여다보는 데 중요한 척도가 된다.

 뉴스를 보다 보면 CD연동 주택담보대출이라는 금융상품을 만나게 된다. 은행은 CD로 돈을 빌리고 그 돈으로 가계에 대출을 해주는데 이 상품이 바로 이런 형식이다. CD금리가 오르면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오를 수밖에 없다. 비싼 돈을 빌려오면 빌려줄 때도 더 비싸게, 다시 말해 금리를 더 높게 해야 수지타산이 맞기 때문이다. 또 은행은 돈을 빌리면서 낸 돈보다 많은 돈을 받아야 이득이 난다. 주택담보대출금리가 CD금리에 플러스 알파, 즉 가산금리를 얹는 이유다.

 ● 돈 빌릴 땐 코픽스금리·신용대출금리

9개 은행 자본조달비용 정보로 코픽스 금리 산출

은행권에서 주택담보대출 시 주된 금리로 활용되고 있던 CD금리는 CD가 은행의 자금조달 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아져 돈 빌리는 값, 즉 자금조달비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또 CD금리가 시장금리와 큰 차이가 나는 등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은행연합회는 은행권의 자금조달비용을 제대로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대출 기준금리를 도입했는데 이게 바로 ‘코픽스(COFIX:Cost of Funds Index) 금리’다. 농협중앙회·신한·우리·SC제일·하나·기업·국민·외환·씨티은행 등 총 9개 은행이 제공한 자금조달비용 관련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다.

 코픽스에는 잔액기준 코픽스와 신규취급액 코픽스가 있다. 잔액 기준은 전달까지 남아 있는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당시 들어갔던 비용을 가중평균해 구한다. 신규취급액 기준은 직전 한 달 동안 새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들어간 비용을 계산해 뽑는다. 잔액 기준은 장기간에 걸쳐 전달까지 마련한 자금을 기초로 하므로 신규취급액 기준에 비해 변동성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

 살다 보면 담보가 없더라도 당장 생계를 위해 돈을 빌릴 일이 생긴다. 그야말로 돈을 갚을 거라는 신용 하나로 빌려야 하는 경우다. 이자를 더 내게 마련이다. 그런 돈에는 신용대출금리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금융회사 입장에서는 담보대출보다 떼일 위험이 크므로 많은 이자를 받는 게 당연한 일이다.

 신용대출금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로 신용등급이다. 신용등급이란 돈을 빌리는 사람이나 기업이 돈을 얼마나 잘 갚을지를 나타내는 척도다. 신용평가회사나 금융회사가 돈 빌리는 사람이나 기업의 과거 금융거래 내역을 반영해 구한다. 신용등급이 높으면 금융사 입장에서는 돈을 떼일 염려가 줄어 금리를 낮게 준다. 그렇지 않은 저신용자에게는 높은 이자를 받는다. 또 신용등급 6등급 이하면 시중은행에서 돈 빌리기가 힘들어진다. 10등급에 근접하면 대부업체 등에서 최고 연 44%의 금리를 내면서 대출을 받아야 한다. 금융위는 올해 대부업 상한금리를 연 39%로 내린다는 방침을 세워두고 있다.

독자와 함께 만듭니다 뉴스클립은 시사뉴스를 바탕으로 만드는 지식 창고이자 상식 백과사전입니다. 뉴스와 관련해 궁금한 점이 있으면 e-메일로 알려주십시오. 뉴스클립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newsclip@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