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관계자‘대우 김회장 용퇴않으면 강제 퇴진’

중앙일보

입력

정부와 채권단은 대우 김우중 회장이 자동차부문의 워크아웃 계획이 확정될때까지 용퇴하지않을 경우 전체 채권단의 의사를결집, 내달초 강제 퇴진시킬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일각에서는 대우로 인한 금융기관 손실로 공적자금이 투입될 경우 김 회장에 대한 사법처리가 불가피하다는 견해가 힘을 얻어가고 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27일 대우 구조조정 부진과 대우사태로 인한 금융시장의 불안에 대한 책임을 지고 김 회장이 스스로 물러나기를 기대하고 있으나 아직 구체적인 움직임이 보이지않고 있다며 대우자동차에 대한 워크아웃 계획이 확정될때까지자진 사퇴하지않을 경우 강제퇴진시키는 것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김 회장 뿐만 아니라 김 회장의 측근으로 분류되고 있는 대우 계열사의 핵심 경영진도 워크아웃 계획 확정을 전후해 모두 물러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렇게 될 경우 김 회장을 비롯한 대우 그룹의 핵심 경영진이 대거 물갈이돼 대대적인 경영진 개편이 예고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김 회장과 주변 경영진이 대우 계열사의 워크아웃 등 채권단 주도의 구조조정에 강한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이는 대우로 인한 국가경제의 어려움을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보지못하고 있는 것이라며 이에 상응한조치가 따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헌재 금융감독위원장은 이와관련 지금은 대우사태의 수습이 시급한만큼 계열사의 회생이 우선 중요하지만 대우 구조조정과정에서 모럴해저드나 불법사실이 드러날 경우 경영진에 대해 엄격하게 책임을 묻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와 채권단 내부에서는 대우 계열사의 손실보전을 위해 은행이나 투신권에대규모 공적자금이 투입될 경우 김 회장을 비롯한 핵심 경영진에 대한 사법처리가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채권단 고위관계자는 대우 계열사에 대한 실사 결과 재무제표와는 달리 숨겨진부실이 속속 드러나고 있는데다 실사과정이나 채권단 주도의 워크아웃 계획 입안 단계에서 김 회장과 측근들의 비협조가 목도되고 있는만큼 책임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대전=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