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전방 특수부대 … 한국군과 비슷한 얼룩무늬 군복 착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북한 특수부대 얼룩무늬 군복, 한국군 얼룩무늬 군복, 한국군 신형 디지털 무늬 군복(위쪽부터)

북한 전방에 배치된 일부 특수부대가 우리 국군과 비슷한 얼룩무늬 군복을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군 소식통은 28일 “지난 4월부터 북한 전방 특수부대원들의 복장이 얼룩무늬로 바뀌었고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며 “기습 침투 대비용인지 여부를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른 군 관계자는 “북한군의 얼룩무늬 군복은 우리 군복보다 색상이 진해 식별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김구섭 한국국방연구원(KIDA) 원장은 “북한은 최근 3~4년 사이 역량이 우수한 특수부대원들로 사단 4개를 신설해 비무장지대(DMZ) 부근 최전방에 배치했다”며 “이들을 경기·강원 동북부 산악지대로 투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68년 북한이 울진·삼척 지역에 무장 공비 100여 명을 침투시켰을 때 우리 군 병력 20만 명이 수개월간 소탕작전을 벌인 예를 들며, “이번엔 우리 국군으로 위장해 무장 게릴라전을 벌일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특수전 병력을 ‘전투서열 제1번’으로 대우하며 장비 등을 최우선 지급하고 있다.

김 원장은 “북한이 최근 특수군 침투 장비를 대거 구입한 것으로 안다”며 “우리의 후방지역 테러를 노린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한편 군 당국은 흙, 침엽수, 수풀 등 우리나라에서 흔한 색깔을 섞어 만든 ‘디지털 무늬군복’을 2012년 말까지 보급할 계획이다.

김수정 기자

▶ 2010 중앙일보 올해의 뉴스, 인물 투표하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