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션 쇼크’ 장본인은 독일 투자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7면

독일에 근거지를 둔 투자자가 ‘11·11 옵션 쇼크’를 일으킨 주식 순매도의 장본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독일의 투자자들은 주식시장에서 1조8513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독일은 상장 채권도 8881억원어치를 순매도하는 등 주식·증권 시장에서 총 2조7394억원을 순매도했다. 특히 주식시장에서의 순매도에 대해 금감원은 “대규모 차익거래 매도의 영향”이라고 밝혔다. 옵션 만기일이었던 11월 11일 장 막판에 매도 물량을 쏟아내 코스피지수를 급락시킨 장본인이 독일에 자리한 투자자라는 것이다. 당시 장 막판 10분 사이에 2조3000억원어치의 프로그램 차익거래 매도 물량이 독일 회사인 도이치증권 한국지점을 통해 나왔다. 그러나 이는 거래를 중개한 곳이 도이치증권이라는 것뿐 주문자가 독일에 있는 투자자라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다 이번에 주문자의 소재지가 공개된 것이다. 금감원의 최윤곤 증권시장팀장은 “실제 투자 주체는 독일에 법인이나 지점을 둔 제3국인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금감원 주식을 대량 매도한 세력이 옵션 투자를 통해 이익을 챙겼는지를 조사하고 있다. 현행법상 주식을 판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옵션 같은 파생상품에서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대량 매도처럼 시세에 영향을 주는 행위’는 위법이다. 한편 지난달에는 미국 투자자들이 국내 상장 주식 1조7141억원을 순매수해 국가별 순매수 규모 1위를 차지했다.

권혁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