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우리 아이 통섭형 인재로 키우려면 최재천 교수에게 들어보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화여대 최재천(56) 에코과학부 석좌교수는 자연과학을 연구하는 학자지만 인문학 관련 활동도 왕성히 한다. 그는 강연 때마다 21세기형 인재는 ‘경계를 넘나드는 통섭형인재’라고 강조한다. 지난달 18일 오전 이화여대 종합과학관 연구실에서 최 교수를 만나 미래 인재상과 자녀교육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통섭형인재’란 어떤 사람을 말하는가.

“통섭형인재란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과 거침없는 공동연구를 할 수 있는 사람이다. 그러려면 학문적 소양을 두루 갖춰야 한다. 21세기 초고령화 시대엔 일생 동안 70여년을 일해야 한다. 직업 1개로는 버티기 힘든 시대다. 첫 직장을 40대에 나와도 전공이나 경력과 무관한 새 직종에 얼마든지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축구선수 박지성이 통섭형 인재의 전형이다. 수비를 전문으로 하다가도 상황에 따라 공격수 역할도 제대로 해낸다.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게 됐을 때 그 분야 사람들과 원활한 소통을 하며 언제, 어떤 부분이든 해내는 사람이 각광받는다.”
 
-그렇게 키우려면 부모는 자녀에게 어떤 역할을 해야 하나.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기초를 두루 갖출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통섭이란 어느 한 분야에 매몰 되는 게 아니라 여러 분야의 이론이 함께 얽혀 새로운 이론체계를 찾아나가자는 것이다. 그러려면 다양한 분야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만약 과학에 흥미가 없다면 과학과 친근한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 과학전람회도 자주 다니고 과학적 흥미를 돋우는 게임을 하는 것도 방법이다. 직업을 여러 번 바꿔야 할지 모르는 미래에 수학·과학과 전혀 관련 없는 직업만 택할 순 없다. 사회에 나왔을 때 과학 분야가 너무 낯설어 접근도 못하고 막막해 하면 안되지 않나. 자세한 원리는 몰라도 ‘어릴 때 잠시 기웃거렸는데’하며 과감히 도전할 수 있을 정도가 돼야 한다. 반대로 인문학에 관심이 없다면 그 쪽에 친근한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글 조금 못쓴다고 이과 쪽 교육만 하고, 수학 조금 못 한다고 문과쪽 교육만 하면 ‘멀티플레이어’가 될 수 없다.”
 
-자녀를 키울 때 무엇에 가장 중점을 뒀나.

“틈 날 때마다 책을 읽어줬다. 미국 유학시절 아들을 낳았다. 교회에서 만난 미국인 할머니가 아이를 보러왔다. “백악관에선 요즘 이런 일이 일어나더라”며 정치 얘기를 갓난아이에게 한참 하는거다. 어안이 벙벙한 우리 부부에게 “애가 못알아듣는 것 같지. 다 듣고 있다 커서 오늘 들었던 걸 부모에게 말해줄 수 있어”라고 하더라. 충격을 받았다. 그 이후로 시간이 나면 책을 읽어줬다. 논문을 쓰다가도 논문내용을 읽어줄 정도였다. 아이가 세 살 때였다. 아이에게 밤에 책을 읽어주다가 내가 잠이 들었다. 말소리에 눈을 뜨니 아이 혼자 책을 읽고 있더라. 글자는 모르지만 그동안 하도 읽어주니 내용을 줄줄 외고 있던 거다. 그 후 도서관에서 책을 부지런히 빌려다 읽어줬다. 5살이 되니 혼자서 책을 자연스레 읽기 시작했다. 아이는 대학에 가기 전까지 3000권 정도의 책을 읽었다.”

-자녀가 책을 읽지 않는다고 토로하는 부모들이 많다.

“부모들은 극장을 방불케 하는 스크린으로 드라마를 보면서 아이에게는 ‘넌 왜 책을 안 읽니’하는게 문제다. 먼저 거실 TV부터 없애라. 부모가 먼저 책 읽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같은 책을 읽어도 좋고 다른 책을 읽는다면 서로 읽은 책에 대해 얘기를 나누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이때 독후감을 쓰라고 강요해선 안 된다. 부담을 느낄 수 있다. 대신 아이가 신이나 책을 읽을 수 있도록 독서활동 내용에 대해 지속적으로 반응해줘야 한다. 나는 내 특기인 성대모사를 이용해 독서를 지도했다. 동물, 특히 물개소리만큼은 독보적이다. 아이가 좋아했던 디즈니 동화를 내가 구피를 흉내내고 아들이 도널드 덕을 흉내내며 신나게 함께 읽어나갔다.”
 
-과학자인데도 글 실력이 대단하다. 베스트셀러도 여러 권이고 고교 국어교과서에 글이 실렸다. 비결이 뭔가.

“책을 많이 읽었던 게 도움이 됐다. 분야는 가리지 않는다. 연구실에도 4000권 쯤 책이 있고, 집에도 2000권 정도 있다. 글 쓸 때는 계속 소리 내 읽어본다. 부드럽게 읽힐 때까지 고치고 또 고친다. 일찍 글을 완성하지만 오히려 고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고쳐쓰기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 

-청소년들에게 통섭과 관련해 추천하는 책이 있다면.

“제러드 다이아몬드의 『총,균,쇠』다. 인류의 역사를 총·균·쇠 3가지로 재해석했다. 원래 생물학자인 저자가 인문학으로 자신의 영역을 넓힌 셈이니 바로 통섭의 전형이다. 이 책으로 통섭적 세계관과 역사관을 가지게 될 것이다.
 
-연구실에 중고생들도 있다던데.

“‘벌레가 좋다’ ‘동물을 좋아한다’며 들락거리는 중고생들로 연구실이 늘 붐빈다. 지난 3년간 3~40명의 중고생들이 왔다갔다. 자유로운 통섭의 현장에서 놀며 연구한다. 함께하고 싶은 학생은 이메일로 약속만 정한 후 연구실로 ‘쳐들어’오면 된다.
 
-평생의 멘토가 있나.

“대학에 들어와 원하지 않는 전공을 하게 돼 방황을 많이 했다. 대학 4학년 때 연구 차 한국에 온 미국 유타대 조지 에드먼즈 교수를 우연히 만나 5일 간 조수역할을 했다. 곤충 ‘하루살이’ 연구를 하러 세계 100여국을 다녔다는 말을 듣고 난 내 미래를 봤다. 그 분처럼 되고 싶어 미국 유학도 결심했다. 결국 하버드대로 진학 해 동물행동학 최고 권위자 에드워드 윌슨 교수의 제자가 됐다. 윌슨 교수는 통섭 개념을 주창한 사람이기도 하다. 통섭적으로 학문하는 법을 배울 수 있었다. 에드먼즈 교수는 우연히 내게 왔지만 누구에게나 이런 행운이 오는 것은 아니다. 나서서 찾아야 한다. 좋아하는 분야의 책을 많이 읽고 그 분야 사람들을 만나다 보면 평생의 멘토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내가 바쁜 시간을 쪼개 최대한 강연을 다니려는 것도 그 이유다. 혹시 내 강의를 듣는 학생 중 한두 명의 인생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면 가슴이 뛴다.

-실제로 그런 학생이 나왔나.

“박영철 교수는 애초 분자생물 전공이었다. 석사 때 내 수업에 들어와선 ‘반짝 반짝’ 눈을 빛내더니 어느날 불쑥 찾아왔다. ‘정말 하고 싶은 공부를 이제야 찾았다’며 전공을 동물행동학으로 바꿔 내 연구실로 왔다. 전공을 바꿨을 때가 이미 대학원생이었으니 공수 전환에 능한 ‘통섭형 제자’가 맞다. 지금은 강원대에서 바퀴벌레를 연구한다.” (최교수는 ‘바키연구합니더’하고 제자의 말투를 사투리까지 정확히 성대모사했다. 과학 뿐 아니라 문학, 역사, 철학 등 다양한 장르의 책이 천장까지 가득 찬 연구실에선 인터뷰 내내 유쾌한 웃음이 끊이질 않았다.)

최재천 교수=동물행동학을 전공한 자연과학자이면서 인문서적도 쓰고 신문에 칼럼도 연재한다. 그가 쓴 글은 고교 국어 교과서에 실리기도 했다. 『대담-인문학과 자연과학이 만나다』『인간과 동물』『알이 닭을 낳는다』『개미제국의 발견』등 그가 쓴 책은 모두 베스트셀러가 됐다. 서울대 동물학과를 나와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를 거쳐 하버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최교수는 학문간 경계를 허물어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소통하며 새로운 것을 창조하자는 통섭의 개념을 한국에 소개한 인물이다.

[사진설명] ‘통섭학자’ 이화여대 최재천 석좌교수가 자신이 번역해 국내에 소개한 책 『통섭』을 들고 환하게 웃고 있다.

<설승은 기자 lunatic@joongang.co.kr 사진="김경록">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