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상품] 삼성전자, IMT-2000 시스템·관련 반도체 등 개발 성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삼성전자는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의 시스템장비와 고속데이터 및 동영상 휴대폰, 핵심반도체 등을 자체 기술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특히 단말기의 경우 기존 국내.외 통신회사들이 핵심부품과 보드 등을 최소화하지 못해 통신선을 이용해 서비스를 구현했으나 휴대폰용 핵심칩과 응용소프트웨어를 개발, 휴대폰 탑재에 성공했으며 시스템도 기존 CDMA(코드분할다중접속) 서비스 방식(셀룰러 800㎒, PCS 1.8㎓)과 미국식 PCS 주파수대역인 1.9㎓, 향후IMT-2000 주파수대역인 2㎓ 대역을 모두 사용할수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IMT-2000 분야에서 시스템부터 휴대폰, 핵심부품, 관련소프트웨어까지 모든 분야를 한개 회사가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하기는 이번이 세계 최초로 이동통신장비 분야에서 앞선 미국 루슨트 테크놀로지와 캐나다의 노던 텔레콤도 아직 개발을 완료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3년동안 개발인력 700명과 연구비 1천억원 이상을 투자해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오는 10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통신전문 전시회인 제네바쇼에 출품돼 일반관람객들을 대상으로 시험서비스될 예정이다.

그러나 이번에 개발된 휴대폰은 동기식으로 속도가 IMT-2000 전단계인 144Kbps에 그쳐 이미 동기식분야에서 IMT-2000 표준규약(프로토콜)인 384Kbps를 개발한 LG정보통신은 휴대폰의 핵심기술인 속도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중요성이 떨어진다고 반박하고 나섰다.

LG정보통신측은 삼성전자가 지금까지 동기식 분야에서 개발을 했고 비동기식에서는 아직 이렇다할 성과가 없는 점을 들면서 자사는 이미 비동기식 분야에서 144Kbps 속도의 휴대폰을 개발한 점을 내세우고 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측은 384Kbps의 속도가 기술적으로 우수하나 효율면에서는 144Kbps에 비해 3분의 1로 떨어지고 세계적인 통신사업자들도 아직 이 기술을 도입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내년 하반기까지 완전 상용화가 가능한 제품을 개발, 완료해 서비스 업체들에게 공급하고 이에 앞서 내년 상반기중에는 미국 최대 PCS 사업자인스프린트사에 시험장비를 납품하고 국내업체들에게도 시험장비를 본격 공급하기로 했다. [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