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오름세 탔나…서울 2주 연속 상승

조인스랜드

입력

업데이트

서울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값이 크게 올랐다. 집값이 바닥을 쳤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투자 수요가 조금씩 움직이고 있고 급매물을 내놨던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이고 있다.

조인스랜드부동산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강남권 아파트 매매값은 0.06% 올라 전주(0.03%)에 이어 상승했다. 일반 아파트(0.02%)는 소폭 올랐지만 재건축 아파트가 0.31% 올라 전주(0.04%)보다 많이 올랐다.

강남구 재건축 아파트값은 0.41% 뛰었다. 대치동 은마 101㎡형은 1000만원 오른 8억8000만~9억5000만원이고 개포동 주공1단지 50㎡형은 1500만원 상승한 9억3000만~9억7500만원이다.

송파구는 제2롯데월드가 착공하면서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더 커지고 있다. 송파구 재건축 아파트값은 0.54% 상승했다. 잠실주공5단지 119㎡형은 1000만원 오른 13억2000만~13억5000만원선이다.

송파 재건축 전주보다 0.54% 상승

주택시장이 회복세를 보이자 그 동안 관망하던 매수자들이 움직이고 있다. 하지만 거래는 많지 않다. 집주인들이 급매물을 거둬들이고 호가를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집값이 바닥을 쳤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집값이 더 떨어지기 전에 팔려는 매도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섰다는 것이다. 반포동 삼일공인 관계자는 “매수자들은 급매물 가격을 원하고 매도자들은 호가를 높이고 있어 거래가 활발하지는 않다”고 말했다.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0.03% 올라 전주(0.01%)에 이어 상승세를 보였다. 강남구(0.08%), 강동구(0.08%), 송파구(0.07%), 은평구(0.06%), 중랑구(0.05%), 성동구(0.05%), 도봉구(0.04%) 등이 올랐다. 반면 구로구(-0.07%), 강서구(-0.06%), 중구(-0.05%), 양천구(-0.03%) 등은 아직까지 하락세다.

강북구는 소형 급매물이 거래되면서 시세가 올랐다. 번동 주공1단지 99㎡형은 1000만원 오른 3억6000만~3억8000만원이다.

$IMG{FILE2010112600039}

입주 몰린 수도권은 회복 더뎌

수도권은 아직 하락세다. 경기 아파트값은 0.02% 내렸다. 올해 집중된 대규모 입주물량이 아직 소진되지 않아 회복세가 더딘 것으로 보인다.


하남시(-0.07%), 남양주시(-0.07%), 파주시(-0.06%), 안양시(-0.03%), 수원시(-0.02%) 등이 떨어졌다. 반면 구리시(0.03%), 광명시(0.02%), 부천시(0.02%) 등은 소폭 올랐다.

남양주시는 이사철 급매물이 거래되면서 회복세를 보였지만 현재 거래가 거의 없다. 도농동 부영e-그린타운1차 148㎡형은 2000만원 내린 3억9000만~4억5000만원이고 평내동 진주1단지 72㎡형은 500만원 내린 1억3500만~1억4500만원이다.

안양시도 비슷한 상황이다. 급매물 소진 후 거래가 없어 시세가 하락했다. 비산동 삼성래미안 138㎡형은 1000만원 내린 52000만~5억9000만원이다.

신도시는 보합세다. 분당(0.01%)은 소폭 올랐고 평촌(-0.01%)은 하락했다. 인천은 0.01% 올랐다. 남구(0.01%)는 상승했지만 서구(-0.05%)는 내렸다.

서구는 이달 왕길‧오류동 등지에 입주물량이 몰려 시세가 떨어졌다. 불로동 삼보해피하임2차 115㎡형은 1000만원 내린 2억4000만~2억6000만원이고 월드 109㎡형은 500만원 내린 1억7500만~2억원선을 호가한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