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회적 기업, 영토 넓혀 쑥쑥 큰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부전동에 위치한 사회적 기업 ‘여성이 만드는 세상’에서 직원들이 판매용 반찬을 만들고 있다. [송봉근 기자]

#부산 상학초교 1학년 한모양은 논술·미술·재즈댄스 과외지도를 받고 있다.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매일 3시간씩, 정규수업 뒤 이어지는 방과후학교에서다. 수강료는 3과목을 합쳐 7만원으로 사설학원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장성표 교장은 “방과후학교가 정규수업 이후 아이들이 갈 데가 마땅찮아 불안해하던 학부모의 걱정을 덜어주는데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학교 방과후학교를 위탁운영하는 곳은 부산행복한학교 재단. 전문지식을 가진 취업취약층(장기 미취업자) 16명을 고용, 9월부터 빈곤층 학부모가 많은 부산지역 4개 초등학교에서 549명의 학생들에게 공공복지 차원의 과외지도를 맡고 있다.

 #61~67세의 취업취약층(정년퇴직자) 9명으로 올해 1월 문을 연 울산희망자전거. 버려진 자전거를 수거해 새 자전거처럼 고쳐서 어려운 이웃에게 기증하거나 3만~5만원에 판매하고 있다. 지금까지 기업체·아파트 단지 등에서 방치된 자전거 1086대를 수거, 새 것 같은 자전거 780대를 만들어냈다. 583대를 팔아 4000만여 원의 수익을 올렸고, 불우이웃에게 57대의 자전거와 98만원의 현금을 기부하기도 했다.

 사회적 기업 붐이 일고 있다. 영리가 아니라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어려운 이웃을 돕는 것 자체가 목적인 기업이다. 형태도 독거노인 도시락배달 등 공공복지 업무를 보조하던 수준에서 과외지도·자전거 재활용, 공동체마을사업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기존의 영리기업이 사회적 기업으로 변신하는 경우도 있다.

 2007년 전국적으로 55개에 불과하던 것이 406곳으로 증가했다. 동남권(부산·울산·경남)에서만 현재 53곳이다. 고용노동부는 2012년까지 동남권에서만 사회적 기업이 135개로 늘어 2650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경남 거창군이 팔을 걷고 나섰다. 전체 인구의 32%인 2만100명이 노약·장애인·
장기실업자 등 사회적 기업에 취업할 경우 1인당 월 90만원 안팎의 인건비 지원을 받는
취약계층이기 때문이다. 거창군은 북상면 소정리 마을청년회(향더덕 가공 판매), 고제
면 소사마을회(무청 활용 시래기 판매), 기존의 영리 기업인 대한산업(양봉 사료 제조)
등에 취약계층 신규 고용, 조직정비 등을 통해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을 유도하고 있다.

 부산시도 2014년까지 200개의 사회적 기업을 육성해 5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로 뛰고 있다. 일반 기업체 1곳이 사회적 기업 1곳을 맡아서 지원하는 1사1사회적기업 30쌍의 결연을 이끌어냈다. 울산에서는 이달들어 현대차가 한백(장애인고용, 세탁업체) 등 3곳과 잇따라 자매결연을 했다.

 사회적 기업이 되려면 ▶취업자의 30%이상이 취약계층이거나 ▶생산하는 상품·서비스의 30%이상이 저소득·장애인·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또 상법상 회사인 경우 배분 가능한 이윤의 3분의2이상을 사회에 환원해야한다.

 정부는 사회적 기업에 대해 연간 200만~2000만원의 경영컨설팅비 ▶신규 취업자 1인당 월 90만원(10인이내) ▶전문기술자 1인(3명이내)당 월 150만원의 인건비 등의 지원
을 받을 수 있다.

 고용노동부 송유나 사무관은 “내년부터 지원 예산을 대폭 늘리고 집행권도 지자체로 넘겨 사회적 기업 육성의 추동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글=이기원 기자
사진=송봉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