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서울 G20, 개발도상국 잠재력 키울 100대 계획 세울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이명박 대통령이 3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서울 G20 정상회의’와 관련해 내외신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국민의 관심과 협조를 당부했다. [조문규 기자]

“오늘 이 문제(개헌)는 언론에서 크게 다루지 마시고, G20을 크게 다뤄주시기 바란다.”

 이명박 대통령은 3일 청와대에서 열린 서울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관련 내외신 기자회견을 이런 말로 맺었다. 마지막 개헌 관련 질문에 답한 뒤 “(언론을) 존중하는 입장에서 답변을 했습니다만, 오늘 주제와 다른 것 같다”면서다. 이 대통령은 55분간의 회견 내내 G20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경주 G20 재무장관회의 때처럼 ‘합의를 못 하면 정상들 비행기를 안 띄우겠다’고 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정상들은 전부 자기 비행기를 타고 오기 때문에 막기 힘들다”고 해 회견 참석자들의 웃음보를 자극했다. 다음은 분야별 문답.

# 환율전쟁, 개발의제

-정상회의에서 환율전쟁의 구체적 조율이 가능한가.

 “(재무장관회의의 중재안 도출을) 매우 다행스럽게 생각하고, 서울 정상회의에서는 이것을 좀 더 구체화하는 작업도 있을 것이다. (경상수지) 가이드라인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하는 문제도 논의될 걸로 본다. 먼저 (재무장관) 합의에 참여해준 중국에 고맙게 생각한다. 정상회의에서도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에게 긍정적인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

 -개발의제에는 어떤 것이 있나.

 “ 가장 중요한 것은 (개발도상국의) 그 성장 잠재력을 키우고 경제의 자생력을 만들어주자는 데 있다. 이번에 실질적인 효과를 주는 100대 행동계획을 수립해 합의에 이를 것이다.”

 -북한도 G20 개발의제의 수혜국이 될 수 있나.

 “북한도 해당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빈국의 하나라고 할 수 있고, 북한 체제가 이러한 국제사회에 참여하면 (G20의) 협조를 받을 수 있다. 전적으로 북한 당국에 달려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개혁 방향은 뭔가.

 “IMF 돈을 빌려 쓰면 망하는 나라가 아니냐 이런 인식을 받고 있기 때문에, IMF의 돈을 빌려주는 방식을 바꾸자(는 것이다).”

# G20 전망

-G7 체제로 회귀할 것이란 전망도 있다.

 “지구상에 그래도 세계의 중요한 경제이슈를 다룰 수 있는 곳은 G20밖에 없다. G20 역할은 더욱 강화된다.”

 -G20 의장국 이후 한국의 위상이 유지될까.

 “정부, 기업인, 또 국민의 역할들을 종합해 우리의 국격은 스스로 지켜야 한다.”

# 테러 대책

-예멘 송유관 테러가 G20에 영향을 미칠까.

 “영향을 주지 않을 거라고 본다. 대한민국은 알카에다의 테러 대상국가도 아니고, 서울 회의는 세계가 공조를 해 경제를 살리고 또 개도국들을 어떻게 지원해 경제성장을 시킬까 하는 것이 (목표여서) 모든 나라들에 일치한다.”

 -북한 도발 시 대비책은.

 “미국과 중국이 그런 일을 못하도록 경고하고 있다. 북한 스스로도 모든 정상들이 모여 세계 경제를 다루는 이 모임에 그러한 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북한을 믿지만 대비는 철저히 하고 있다.”

 -반대 시위 대책은.

 “서울 정상회의를 반대할 만한 이유가 없다. 일자리를 만들어 내고, 중소기업을 살리고, 세계 경제를 살리자고 하는 이러한 (이번 회의) 목표는 그런 (반대) 단체들의 목표들과도 일치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시위를 자제해줄 것으로 믿고 있다.”

# 자유무역협정(FTA)

-정상회의 전에 한·미 FTA 합의가 가능한가.

 “나는 어쩌면 가능성이 있다고 이렇게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FTA를 많이 한 나라다. 지금 미국과도 시간 문제라고 보고 있다.”

 -한·중·일 FTA 추진 의사가 있나.

 “FTA라고 하는 것은 쌍방과 이해를 조절해 ‘윈-윈’ 하는 것이 돼야 한다. 그런데 3개국은 농산물이라고 할까, 중소기업 보호 등 좀 예민한 분야가 있다. 2012년까지 (3국 전문가들이 FTA 타당성) 연구에 들어갔다. 아마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올 것으로 보고 개인적으로 일본과, 중국과 FTA를 원하는 것은 사실이다.”

글=남궁욱 기자
사진=조문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