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기반 콘텐트·서비스 개발 힘써야 스마트폰 경쟁에서 앞서나갈 수 있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9면

‘웹(web)이 가고 앱(app·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의 시대가 오고 있다’.

정보기술(IT) 분야에는 이런 이야기가 자주 회자되고 있지만 모바일의 발전을 위해서는 반대로 웹의 역할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삼성전자 미디어솔루션센터장인 이호수(58·사진) 부사장은 14일 “스마트폰 경쟁에서 앞서가려면 웹 기반의 콘텐트와 서비스 개발에도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한국공학한림원 주최 조찬 강연에서다.

그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욕구를 그 근거로 들었다. “소비자는 한 번 내려받은 콘텐트를 여러 통신업체 스마트폰에서 쓸 수 있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지금처럼 애플 앱스토어나 구글 안드로이드마켓, 삼성앱스 등으로 나누어져 이와 호환되는 스마트폰에서만 자사의 앱을 제공하면 이런 욕구를 충족시키기 힘들다는 이야기다. 이 때문에 현재 15% 정도인 웹 기반의 스마트폰 콘텐트·서비스 비중이 2015년에는 50∼60%로 커질 것으로 그는 내다봤다. 이 부사장은 “한 가지 플랫폼에만 의존하는 콘텐트를 만드는 회사는 도태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애플·구글의 보이지 않는 위협도 경계했다. 그는 “지금은 애플과 구글이 웹 기반 서비스를 하지 않지만 웹 버전은 구축해 놨다”며 “웹을 지원하는 기기와 콘텐트가 활성화하면 곧바로 공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삼성은 콘텐트·기기 등 전반적인 기초체력에서 해외 경쟁사에 밀리는 게 사실이지만 이미 개발한 ‘바다(Bada)’ 플랫폼을 중심으로 국내외 업체들과 긴밀히 협력해 극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부사장은 미국 노스웨스턴대 컴퓨터공학 박사로 20년 동안 미국 IBM에서 일했다. 2006년 삼성전자로 자리를 옮긴 뒤 바다 플랫폼과 삼성앱스 개발을 주도했다.

문병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