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시간 근로 업무관행부터 바꿔야 관리자 의지가 유연근무 정착 관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양인숙 여성정책연 연구위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양인숙(사진) 연구위원은 “유연근무제 정착을 위해서는 장시간 근로 등의 업무 관행 개선, 대체인력 관리 시스템의 정교화, 성과 평가 시스템 개선 등이 같이 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국은 연평균 근로시간(2008년 2256시간)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길다. 이런 현실이 바뀌지 않고서는 아무리 제도가 좋아도 ‘그림의 떡’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양 위원은 “시간제 근무를 선택한 공무원 40명과 인사담당자를 면접한 결과 기관장이나 관리자들의 의지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왔다”고 지적했다.

양 위원은 “그래도 공직사회는 민간기업에 비해 평가가 공정하고 임금 산정 방식이 체계적이며 직종이 다양해 유연근무제를 선도적으로 추진하기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며 “공공 부문이 먼저 시행한 뒤 보완해나가면 민간 부문으로 쉽게 확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테면 원격근무 보안 문제나 시간제 근무의 업무 분담법 등을 매뉴얼로 만들면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또 “현재 공공 부문에서 시행 중인 시간제 근무는 ‘저임금의 한시적 일자리’가 아닌 ‘양질의 정규직’이라는 점에서 시간제에 대한 노사의 부정적 인식을 줄일 수 있다”며 “지자체나 기업들이 적극 참여할 경우 우리나라 근무 행태에 큰 변화가 생길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정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