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북핵 파문 해결 총력전] 15일 한·미 외교장관 회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右)이 11일 오전(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딕 체니 미국 부통령과 환담하고 있다.[연합]

북핵 파문과 관련, 정부는 1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외교장관 회담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13일 "북한이 핵보유 및 6자회담 무기한 불참 선언으로 세게 치고 나간 상황에서 미국이 어떤 태도를 보이느냐가 향후 북핵 정국의 최대 갈림길이 될 것"이라며 "이번 회담의 결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게 정부 판단"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 주말 잇따른 관계부처 대책회의를 열고 회담 의제 조율 및 양국 간 합의사항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데 주력했다. 정부는 양국 장관들이 ▶북핵 문제의 외교적.평화적 해결 원칙을 재천명하고 ▶6자회담의 유용성을 거듭 확인한 뒤 북한의 조속한 복귀를 촉구하며 ▶중국의 적극적인 중재 역할을 요구하는 등 세가지 기본 원칙에 합의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 중이라고 복수의 정부 관계자가 밝혔다.

한 관계자는 "한.미 양국에서 대북 강경론의 부상을 억제하고 평화적 해결 기조를 계속 유지해가는 게 정부의 1차 목표"라며 "양국 간 사전 실무협의도 무리 없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과연 미국이 우리 정부의 주문에 응해줄 것이냐다. 한 당국자는 "이번의 경우'외교적'으로 넘어간다 하더라도 뾰족한 후속수단이 없는 상황에서 언제까지 대북 강경론을 잠재울 수 있을 것이냐가 정부의 솔직한 고민거리"라고 말했다.

박신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