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수퍼박테리아 사망 2년 전 국내서도 발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일본에서 9명의 목숨을 앗아간 수퍼급 세균(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 MRAB)이 국내에서도 일부 발견되고 사망자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내 K대학병원 감염내과 의료진이 국제학술지 7월호에 보고한 논문에 따르면 2007년 10월~2008년 7월 이 병원의 중환자실 입원환자 57명을 조사한 결과 19명(35.8%)에게서 일본 환자와 같은 세균이 검출됐다. 이 가운데 4명이 이 균 때문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됐다.

병원의 시료 135개 가운데 24개에서, 65명의 의료종사자 가운데 7명에게서 같은 균이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종합병원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한 간호사도 이 세균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세균은 여러 가지 항생제를 쓰다가 안 들어 마지막으로 강한 약(카바페넴 계열 이미페넴 등)을 쓰는데, 여기에도 끄떡없어 수퍼박테리아로 불린다. 또 질병관리본부가 지난해 전국 대형병원 25개를 조사했더니 문제의 균이 51~56% 발견됐다.

하지만 이 세균이 인체에 미치는 독성은 그리 강하지 않다. 서울대병원 오명돈(감염내과) 교수는 “아시네토박터균은 환자 몸속이나 흙·물에서도 분리되는 흔한 세균”이라며 “중환자실에서 숨지는 환자에게서 이 균이 검출되는 경우가 더러 있다”고 말했다. 오 교수는 “이 균의 독성이 약하기 때문에 정상인에게는 별문제가 될 게 없지만 장기이식환자 등 항생제를 오래 썼거나 면역력이 약한 환자한테는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일본은 감염 사실을 은폐하고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 집단 감염됐지만 한국은 산발적인 감염에 지나지 않는다. MRAB는 인도·영국 등지에서 발견된 수퍼박테리아 NDM-1과 다르다. NDM-1은 ‘수퍼 버그’로 불리며 이번에 처음 발견됐다. 다음으로 강한 수퍼박테리아는 반코마이신이라는 항생제가 안 듣는 황색포도상균(VRSA)인데 둘 다 국내에서 발견된 적이 없다.

전문가들은 항생제 오·남용이 심각한 점을 들어 관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지난해 전국 346개 병원이 수술할 때 감염 예방 목적에서 항생제를 제대로 썼는지를 조사했더니 오·남용이 심각했다. 절개 한 시간 전에 항생제를 써야 하는데 75.6%만 그리 했다. 미국(95.3%)에 훨씬 못 미쳤다. 두 가지 이상을 쓰거나 퇴원할 때 처방하는 경우도 많았다. 항생제를 많이 쓰거나 잘못 쓰면 세균의 내성을 키우게 된다.

신성식 선임기자, 김정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