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로 외우는 송오현의 TOEFL 어휘 15

중앙일보

입력

Unit 15 psychic, haunt, marginal

어휘는 무조건 암기하는 것이 아니다.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이해하고, 머릿속에 정리해 두어 언제든지 사용할 줄 알아야 진짜 자신만의 어휘가 되는 것이다. 연관성 없어 보이는 3개의 어휘를 하나의 스토리로 외우는 재미있는 토플 수업을 즐겨보자.

<“나는 초자연적인(psychic) 현상을 믿지 않기 때문에 귀신이 사람들을 따라 다니며(haunt) 괴롭힌다는 TV 프로그램 내용은 미미한(marginal) 관심거리 밖에 되지 않는다.”>

첫 번째 어휘 psychic부터 살펴보자. 원래 psych로 연결되는 어휘는 ‘일반적인 정서나 본성’을 나타내며, 모두 영혼, 정신(soul, mind)과 관련이 있다. 즉, 한국 사람들의 정서는 ‘korean people’s psych’라고 표현해야 한다. ‘korean people’s mentality’라고 쓰면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psychic은 ‘초자연적인, 심령의, 인간의 정신이나 영혼과 관련이 있는’ 이라는 뜻이다. 초자연적인 힘은 psychic powers, 정신적 고통은 psychic pain이라고 표현한다. 또 ‘she seems to be psychic(그녀는 초능력이 있는 것 같다)’처럼 사람이 초능력이나 신통력을 갖고 있는 경우에도 사용한다. 명사 형태로는 심령술사, 초능력자가 된다. 동의어로는 supernatural(초자연적인), otherworldly(내세의, 초자연적인) 등이 있다.

두 번째 어휘 haunt는 ‘어떤 장소에 귀신이나 유령이 반복해서 나타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놀이동산에 있는 귀신의 집 역시 a haunted house라고 표현하면 된다. 이 외에 ‘불쾌한 생각이 머릿속에 계속 떠오르다’ ‘끊임없이 반복해서 괴롭히다’ ‘어느 장소를 자주 방문하다’라는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특히 ‘반복적’이라는 의미가 내포돼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명사로 쓰이면, ‘It was one of my haunts(내가 자주 가는 곳 중 하나이다)’에서 처럼 여러 사람이 자주 나타는 장소, 자주 가는 곳 등을 나타내기도 한다. 동의어로는 stamping ground 정도를 기억해 두면 좋다.

마지막 어휘 marginal은 ‘중요하지 않은’‘영향력이 작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다른 무엇인가와 비교했을 때 덜 중요한 것으로, 절대 비교가 아닌 상대 비교라는 점이 중요하다. 또 marginal notes(여백에 쓴 메모)처럼 명사 앞에 사용하면, ‘여백에 쓴’ 이라는 의미도 있다. marginal의 명사인 margin을 사용하면 notes in the margin으로 바꿀 수 있는데, 전체사 on이 아닌 in을 사용한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동의어로는 slight, insignificant, borderline 등이 있다. slight와 insignificant 역시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단, slight가 동사로 사용되면 ‘무시하다’라는 의미가 있다는 것도 알아두면 좋다. Don’t slight yourself는 ‘자신을 비하시키지 마라’라는 뜻이다.

※cafe.naver.com/eedrive 에 방문하면 무료로 관련 동영상 강의를 들을 수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