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값 폭락 막게 햅쌀 114만t ‘격리’ 창고 보관 비용만 3570억원 예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가 올 추수가 끝난 직후 100만t이 넘는 햅쌀을 사들이기로 했다. 너무 많은 쌀이 시장에 풀려 가격이 급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이 햅쌀을 보관하는 데만 3570억원이 들어간다. 농림수산식품부는 31일 이 같은 내용의 ‘수확기 쌀 수급 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국민이 밥을 지어 먹는 용도의 쌀 수요량(426만t)을 초과하는 공급량은 모두 거둬들이기로 했다. 쌀값을 떨어트리지 못하게 시장에서 격리시킨다는 것이다. 올 예상 수확량(473만t)과 의무 수입량(33만t)을 고려하면 초과 공급량은 84만t에 이른다. 이와 별도로 정부는 공공비축 목적으로 34만t을 더 사들일 예정이어서 최대 수매량은 114만t에 이를 전망이다. 농식품부는 또 미곡종합처리장(RPC) 등에도 1조2000억원의 벼 매입자금을 지원해 쌀을 사도록 할 방침이다. 유정복 농식품부 장관은 “ 농정 책임자로서 쌀값이 폭락하는 것을 이대로 두고 볼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날 발표에서 대북 지원이나 사료용으로 쓰는 방안은 제외됐다. 재고쌀 149만t 가운데 정부 비축분 100만t을 제외한 49만t은 내년까지 긴급 처분키로 했다. 여기에 올해 수매한 114만t까지 더하면 보관비용은 6698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최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