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패,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심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우리 사회의 부패가 점차 개선되고는 있으나 여전히 그 정도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치 분야의 부패는 가장 시급히 척결해야 할 대상으로 꼽혔다.

이는 부패방지위원회와 한국투명성기구가 최근 사회 각 분야의 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우리 사회의 부패 현황과 개선과제'라는 설문조사 결과 드러났다. 조사는 지난 10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됐다. 조사 대상자는 정치 분야의 경우 국회의원 또는 의원 보좌관(25명), 경제 분야는 경제단체 및 기업체 부장급 이상(25명), 공공기관은 정부 각 부처의 과장급 이상(25명), 시민사회 분야는 시민단체 부장급 이상(25명)이었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부패 정도에 대해 응답자의 47%가 '심각하다'고 했다.'보통'이 43%였고,'깨끗한 수준'이라는 응답은 10%에 그쳤다.

특히 우리나라의 부패 정도를 선진국과 비교할 경우'취약한 수준'이라는 응답이 93%에 달했다. 그러나 참여정부 출범 이후 부패 개선도에 대해서는'개선되었다'는 응답이 전체의 61%나 됐다. '별 차이가 없다'는 34%였다. 부방위 관계자는 "부패가 개선되고는 있으나 그 정도는 여전히 우려할 만한 수준이라는 인식이 많은 것 같다"고 분석했다.

'어느 분야의 부패가 가장 시급히 개선돼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정치 분야가 45%로 단연 높았다. 이어 공공(27%).경제(13%).사회 분야(13%) 순이었다.

그러나 정치 분야는 현 정부 출범 이후 가장 많이 부패가 개선된 곳으로도 꼽혔다. 응답자의 59%였다. 지난 총선에서 초선의원들이 대거 국회에 진출한 영향으로 분석됐다.

최근 시민사회에서 제안한 '반부패투명사회협약'에 대해서는 72%가'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응답자들은 부문별 개선 방안과 관련, 정치 분야의 경우 ▶정치자금의 투명성 강화 ▶선거공영제 ▶정당 민주화 등을 꼽았다.

강갑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