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데이터 고속도로’ 승부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9면

국내 최대 이동통신 업체인 SK텔레콤이 전국에 ‘데이터 하이웨이(고속도로)’를 깔아 모바일 데이터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승부수를 던졌다. 최근 경쟁사인 KT가 내년까지 전국에 10만 곳의 와이파이(WiFi·근거리 무선랜) 구역을 구축하기로 한 ‘모바일 원더랜드’ 장기 비전에 대한 정면 대응이다.

SK텔레콤의 하장용 네트워크부문장은 19일 서울 을지로 본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와이파이존은 100만 곳 구축한다 해도 남한 국토 면적의 1%밖에 커버하지 못한다. 와이파이는 모바일 인터넷 시대의 주력 통신망이 될 수 없다”고 KT 전략을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이어 “전국에 거미줄처럼 깔리는 이동통신망을 총동원해 데이터 고속도로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회사는 보도자료를 통해 ‘경부고속도로 개통 등 1970년대 이후 고속도로가 산업 근대화의 견인차 역할을 했듯이, 모바일 인터넷 시대에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의 무선 대동맥을 깔겠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특히 음성통화 수입을 올리는 데 주로 쓰이던 이통망을 무선 인프라로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KT가 비교우위인 유선망으로 전국 주요 장소를 연결해 와이파이존을 운영하는 전략과 대조된다.

◆데이터 처리용량 6배로=SK텔레콤은 우선 3세대(3G) 이동통신망(WCDMA)의 데이터 처리 용량을 6배로 늘린다. 현재 3G용으로 쓰는 주파수 네 채널 중 한 채널(5㎒)을 데이터 전용으로 돌리고, 연말께 정부에서 추가로 할당받을 두 채널도 데이터 전용으로 쓸 예정이다. 이들 주파수 채널을 데이터 전용으로 전환하면 음성과 데이터를 혼용할 때보다 데이터 처리용량이 최대 6배로 늘어난다. 하 부문장은 “(이렇게 되면) KT보다 3배 이상의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갖게 된다. 여기에 무선 인터넷 위주인 4세대 이통망 ‘롱텀에볼루션(LTE)’ 인프라 구축도 서두르고 있다”고 말했다. 내년 말 상용화해 2013년 전국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인구밀집 지역 별도 관리=SK텔레콤은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인구밀집 지역에는 별도의 첨단 기술도 적용해 원활한 무선 인터넷을 지원할 예정이다. 상업·공공 시설이 많은 곳의 기지국에는 ‘6섹터 솔루션’이라는 기술로 데이터 처리 용량을 기존 기지국의 두 배로 올리기로 했다. 올 하반기부터 서울·수도권·광역시 1000곳을 이 방식으로 바꿀 예정이다. 또 직장·학교·가정 등 좁은 지역 중 데이터를 많이 쓰는 곳에는 초미니 기지국 ‘데이터 펨토셀’을 설치한다.

하 부문장은 “남아공 월드컵 축구 기간 중 일부 지역에 와이파이존을 운영해 봤는데 사람들이 너무 많이 몰리면 제구실을 하지 못하고 속도가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다”고 전했다. 또 한꺼번에 20개 와이파이존이 잡히는 서울 청계천처럼 특정 지역에 와이파이망이 너무 밀집하면 전파 간섭이 일어나 통신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요 장소 와이파이 지원=SK텔레콤은 버스·지하철 등 이동 중 와이파이 수요를 위해 KT처럼 와이브로 기반의 모바일 와이파이존 5000 곳을 연말까지 구축한다. 또 3G 이통망과 와이브로 신호를 와이파이 신호로 바꿔주는 장치인 ‘DBDM(Dual Band Dual Mode) 브리지’를 10월 중 국내 처음 출시한다. 하 부문장은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로 요금 부담이 없어진 만큼 앞으로는 속도·안정성·보안성을 가진 국내 최고의 무선 인프라를 서비스하겠다”고 말했다.

 박혜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